“中 헬스케어 시장, 실버∙의료기기 분야가 황금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곽예지 기자
입력 2018-06-27 16: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국경영연구소 차이나 비즈니스 세미나 '중국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

  • 중국 고령화로 실버 산업 잠재력 커... 관련 기관 설립, 전문가 양성 분야 노릴 것

  • 中 소비자, 韓 의료기기 선호도 높아... "전력투구 해라"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 소장이 지난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중국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중국경영연구소 제공]


중국 헬스케어 시장이 고령화∙소득증가 등의 요인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이 해당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실버 산업과 의료기기 산업을 공략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중국 정부의 규제가 부담된다면 중국 현지 기업과 협업을 통한 진출도 나쁘지 않다는 지적이다.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 소장은 지난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중국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중국 헬스케어 시장변화와 시장접근법’ 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중국 의료시장은 ‘빈익빈 부익부’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박 소장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환자 1000명 당 의사수가 미국은 2.4명, 영국은 2.8명이지만 중국은 1.5명에 그친다”며 “여기에 경제 성장과 고령화 현상까지 더해지며 중국에서 의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도 이런 현실을 인식하고 헬스케어 시장의 발전을 위해 소매를 걷어붙였다. 중국 정부는 2013년 ‘건강중국(健康中國)’이라는 가치 아래 헬스케어 산업을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의 10% 수준인 8조 위안(약 1500조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올해 4월에는 중국 국무원이 인터넷과 헬스케어의 통합을 심화시키기 위한 ‘인터넷+헬스케어’ 가이드라인을 공개하는 등 헬스케어 시장에 전력을 쏟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 기업에 매우 중요한 밑그림이 된다고 박 소장은 설명한다. 그는 “중국 전문가들은 해외 기업이 중국에서 성공하려면 공산당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보고 그쪽으로 따라가면 된다고 조언한다”며 “그중 하나가 헬스케어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헬스케어 시장의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박 소장은 “고령화 현상이 격화되고 있는 중국에서 실버 산업은 가장 잠재력이 큰 분야”라고 전했다.

실제로 최근 발표된 중국 고령산업보고서(中國老齡產業發展報告)에 따르면 현재 약 2억2000만명에 달하는 중국 노인 인구는 오는 2050년이면 4억8000만명까지 확대, 전 인구의 16.1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중국의 실버 시장규모는 2014년의 4조 위안에서 오는 2050년에는 106조 위안에 달하면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우영 중국카롤라인그룹 대표가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중국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중국경영연구소 제공]


이날 세미나에 참가한 최우영 중국 카롤라인그룹 대표는 “중국 실버 산업은 수요가 높지만 아직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이 틈새를 노려 볼만하다”며 “중국 현지 기업과 힘을 합쳐 실버타운을 건설하거나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공략이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의료기기 산업도 한국 기업이 영향력을 확보하기 좋은 분야다. 최 대표에 따르면 의료기관과 의료 전문가의 부족 등으로 중국 소비자의 의료기기 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2016년 기준 중국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3700억 위안(약 63조6000억원)으로 2015년 3080억 위안(약 52조9400억원)에 비해 20.1% 증가했다. 향후 5년 안에 200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최 대표는 보고 있다.

최 대표는 “중국 내에서 한국의 체외진단기기, 병원에 납품되는 의료기기 장비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라며 “해당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한국 기업은 중국 진출에 전력투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다만 중국 당국의 규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과 정책을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 며 “사전 신고, 사후 신고 등의 까다로운 절차를 직접 발로 뛰거나 해당 분야에 정통한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