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섬의 어(語)?] '차카게 살자'는 무슨 뜻일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상국 아주닷컴 대표
입력 2018-05-31 15: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조직폭력배들이 팔뚝에 새긴 문신이 '차카게 살자'이고, 그들이 벽에 붙여놓은 좌우명이 '차카게 살자'이다. 물론 패러디다. 저 나쁜 사람들이 무슨 저런 말을 할 자격이 있다고, 착하게 사는 걸 논한담? 여기엔, 그러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괜찮은 충고가 있다.
 

[인터넷만화방의 인기작품 '차카게 살자'(신인철-김기정 작)]



하나는 착하지 않음이 어떻게 착함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이다. 그들 중 일부는 초등학교도 못 나왔다. 맞춤법도 모른다. 언어의 맞춤법만 모르는 게 아니라, 윤리의 맞춤법도 모르고 사회의 맞춤법도 모른다. 삶의 맞춤법도 모르고 가치의 맞춤법도 모른다. 그들은 오직 조직의 맞춤법만 안다. 그들이 '착하다'는 의미는, 조직의 룰들을 잘 지키는 것이다. 그것이 세상에게도 착한 일인 줄 안다. 그러기에 그 패악의 상징들도 본성적으로 착하다고 말할 수 있는지 모른다. 다만 착함과 악함의 분별을 심어주지 못한 것일 뿐이다.
 

[영화 '베테랑'의 한 장면]



다른 하나는, 그들이 의도한 바는 아니되 세상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는 점이다. 밑바닥 인생인 우리들도 착하게 살고싶은데 우리보다 상류에 있는 너희들은 착한가? 우리는 일년에 한번씩 사시미칼로 난도질을 해야 기껏 뉴스가 되는데, 형님들은 왜 날마다 뉴스가 되는가. 착하고 착하지 않음은 배운 것과 배우지 않은 것의 차이가 아니고, 배운 것들을 배신하는 나쁨에 기인하는 것이다.

파란만장한 경험을 한 어떤 언론사CEO를 만났을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 길도 가보고 저 길도 가봤는데, 결국 한 길서 만납디다. 이정표엔 이렇게 써있습디다."

차카게 살자

세상은 공평하다. 밑바닥부터 강남꼭대기까지 다 누릴 수 있는 '칸트 도덕률'을 발견한 셈이다.


이상국 아주닷컴 대표(CREATO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