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전략공천' 논란 빚은 '우선추천' 총량 20%로 규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01 16: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지상욱 새누리당 대변인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혁신비상대책위원회 회의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는 1일 '전략공천' 논란을 빚었던 우선추천지역이 전체 선거구의 20%를 넘지 않도록 규정하기로 했다. 

또한 선정 지역과 추천 후보자에 대해 국민공천배심원단의 적부 심사를 받도록 했다. 

이날 지상욱 당 대변인은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혁신비대위 전체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우선추천지역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현재 새누리당 당헌에 따르면 우선추천지역에 대한 정의는 ▲여성·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의 추천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한 지역 ▲ 공모에 신청한 후보자가 없거나, 여론조사 결과 등을 참작하여 추천 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이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여성과 청년·장애인 등의 우선추천지역으로 12곳을 선정해 후보자를 냈었다.

혁신비대위는 우선추천을 통한 공천은 전체 선거구(현 253개)의 20%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을 넣기로 했다. 현재 기준으로 보면 약 50.6개의 선거구만 우선추천 공천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혁신비대위는 또한 우선추천지역의 정의에 '약세 지역'이라는 단어와 '우수 인재 영입을 통해 국민적 기대에 부응한다'는 내용을 추가해 범위를 다소 넓혔다. 

지 대변인에 따르면 약세 지역은 역대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없는 곳, 국회의원 선거의 잇딴 패배로 당세가 약화된 지역을 뜻한다. 인재 영입의 경우, 기존의 정치적 소수자로 묶인 여성·장애인·청년·다문화가정 외에 외부인사 영입도 해당된다는 설명이다.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된 대상 지역과 추천 후보자에 대해서는 국민공천배심원단이 적부 심사를 실시하고, 선정사유를 공개하도록 했다. 

지 대변인은 "우선추천지역 논의 도중, 가산점을 줘서 새누리당 접전 지역과 약세 지역에 후보를 투입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나왔다"면서 "그렇게 되면 가산점으로 인해 지역에서 1등이 된 후보가 정작 본선에서 경쟁력이 약화된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혁신비대위는 중앙당 상설위원회 개편을 통해 인권위원회 산하에 있던 법률지원단을 법률자문위로 격상·신설키로 했다. 기존의 디지털정당위원회와 모바일 정당 구현을 위한 특별위원회도 통합해 온라인 정당위원회를 통합·신설하기로 했다.

아울러 청년 최고위원과 여성 최고위원이 각각 청년위원장과 여성위원장을 겸직하도록 했고, 여성 최고위원이 2명 이상 나올 경우 최고위원회에서 협의를 거쳐 당 대표가 여성위원장을 지명하도록 했다.

이밖에 원외 당협위원장 출신으로는 최초로 서울 시당위원장으로 당선된 강동호 서울 중랑구을 당원운영협의회 조직위원장 선임을 의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