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당 이활의 생애-9]을사조약 체결, 일제 침탈 지방까지 번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21 16: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아주경제신문-한국무역협회 공동기획 (9)

  • 제1장 성장과정 (4) 밀려오는 자본주의의 물결

목당 이활 한국무역협회 명예회장 [일러스트=김효곤 기자 hyogoncap@ ]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목당(牧堂) 이활(李活)이 영천군 임고면 양항동 서원마을에서 만석꾼의 큰아들로 태어난 것은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철도(京仁鐵道, 경인선)가 개통되었던 해인 1899년이다.

1876년 2월, 부산포의 개항으로 시작된 이 나라의 강제 개국은 우리 봉건 사회에 큰 변화를 몰고 왔다. 구미와 일본의 세력이 들어오면서 정신적으로는 개화사상의 새 물결이 전통 유교사상과 마찰을 일으키고,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 열강의 상품과 상술까지 물밀 듯 밀고 들어와 나라의 전통적은 시장을 뒤흔들어 놓는 격변이 일어났다. 영천은 행정적으로는 경주부윤(慶州府尹, 부윤은 조선시대 지방관청인 부의 우두머리. 종2품 문관의 외관직으로, 관찰사와 동격)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는 대구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히 영천의 전통사회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경부철도(京釜鐵道, 경부선) 공사가 벌써 대구를 지나 한창 진행되고 있던 1904년부터이다.

철도공사장이 대구에 설치되면서 대구에만도 2000여 명의 일본인들이 몰려왔고 이때부터 건너오는 일본인의 숫자가 격증하여 대구 사회는 각 분야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각종 상품을 취급하는 상점의 수효가 늘어나고 지금까지 못 보던 석유와 담배, 직물과 주류(酒類)들이 쏟아져 들어와 영천 장에도 이들 상품들이 적잖게 나돌기 시작했다.

1905년 을사조약 이후에 고문정치가 시작되더니 1906년에 가서는 통감부(統監府)가 설치됨에 따라 대구에도 대구이사청(大邱理事廳, 이사청은 일제가 각 지방에 설치한 통감부의 지방 기관)이 설치되어 행정권을 일본인들이 장악함으로써 그들의 활동범위는 전보다 한층 넓어져 갔다. 대구의 도시계획도 일본인들의 마음대로 뜯어고쳐져 갔다.

그해 3월, 대구면(大邱面) 신동(新洞)에는 일본인 기와 공장이 설립되는 등 신공업의 이식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이 대구가 신도시로 개발되면서부터 영천 장은 날로 쇠퇴해 갔다. 이때가 목당의 나이 7세 되던 때로 그는 집안의 재실 심곡제(心谷齊)에서 서당 공부를 하고 있었다.

일본인들의 대구 침탈은 대구의 사림(士林)은 물론 상인 계급의 각성과 반발마저 불러일으켜 갖가지 마찰과 저항이 전개되었다. 그중에서도 전통 상인들의 저항은 가장 조직적이고 완강한 것이었다.

1906년 1월에는 김광제(金光濟)가 중심이 되어 대구 광문회(廣文會)를 설치, 이 문회를 통하여 자강사업(自强事業)이 시작되었다. 이 광문회는 우리 민지(民智)를 개발하고, 학교를 설립하며, 민업(民業)을 확장하기 위하여 우리 경제를 진흥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서상돈(徐相敦) 정규오(鄭圭五) 서병오(徐丙五) 이일우(李一雨) 이성오(李成五) 등 대구의 부호 경제인들 대부분이 이에 가담하였다.

대구의 이와 같은 사정은 즉각 영천 사회에 전달되고 반영되었지만 일본인들은 우선은 철도가 지나는 주요 도시부터 거점 확보를 서둘렀고 평야지대의 농경지 확보를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으므로 영천은 그들의 관심 밖에 없었고 직접적인 자극도 없었다.

목당의 부친 석와(石窩) 이인석(李璘錫)은 당시 35세의 장년기로서 혈기 왕성한 때였지만 이 변혁의 와중에서도 침착을 잃지 않았다. 당시 그의 슬하에는 이미 활(活), 홍(泓) 두 아들이 태어난 뒤였다.

심곡제는 아이들의 서당이기도 했지만 마을의 공회당이나 사랑방 같은 구실도 하여 마을에 무슨 일이 생기면 모두들 심곡제로 모여들었다. 당시로서는 몇 사람만 모이면 으레 개화논쟁이 벌어지곤 하였다.

전통을 고수하고 개화에 큰 반감을 품은 사람, 이와는 반대로 시국에 따라서 개화론을 펴는 사람, 점차적으로 개화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 등 온갖 의견이 다 나왔다. 그러나 이곳은 원래가 전통적인 마을이었으므로 사회개혁이나 정신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구국의 길을 걸은 그런 맹렬 인물은 없었다. 겨우 진보적인 사상을 가졌다는 사람이 점진적 개화론자로 사회가 변화해 가는 것을 보면서 이를 받아들임이 옳다고 기우는 편이 많았다.

석와는 유학(儒學)의 입장에서 개화에 회의를 표시하는 대다수 유림(儒林) 편에 서 있었으나 일제에 대하여는 투쟁이라기 보다 꾸준한 항일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자식들의 교육의 문제에 대해서만은 매우 진보적이고 적극적이었다.

목당은 서당에서 공부할 즈음인 13세에 결혼을 하게 되는데 2대 독자인 석와는 되도록 일찍 이들을 결혼시키고 싶었으며 이때 목당의 조부인 송호(松湖) 이기모(基模)의 나이는 이미 칠순이 넘고 있었다. 석와가 목당을 결혼시킨 해가 1911년인데, 석와가 관찰부 주사로 사회활동을 할 때 사돈을 맺은 이석은과 이미 접촉이 있었던 듯 싶다.

이석은의 집안은 영일군 신광면 우각리에서 여러 대를 이어 살아온 토호(土豪, 지방에 웅거하여 세력을 떨치는 호족) 경주이씨(慶州李氏) 문중으로 역시 만석꾼이었다.

석와는 뒷날 둘째 아들 홍(泓)의 배필도 같은 문중인 이원경의 딸을 맞아들여 겹사돈을 맺고 있다. 목당의 처남 이원기는 오운(五雲) 이원만(李源萬, 1904~1994년. 코오롱그룹 창업자)의 재종형이다. 목당은 원래 말수가 적고 과묵해서 허물없이 지내는 친구가 몇 사람 안 되는데 그 가운데서도 가장 가까운 친구 중의 하나가 오운이었다. 그것은 어려서부터의 교분 때문이었다. 목당은 결혼 3년 후인 1915년 16세로 아들 병인(秉麟)을 낳았고, 석와는 그보다 한해 전인 1914년에 넷째아들 호(澔)를 얻고 있었다. 나이 37세에 석와는 이제 아들 넷에다 손자까지 보았으니 주변에서는 모두들 부귀다남(富貴多男)의 복이 깃들었다고들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