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열 칼럼] 알파고 대 베타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3-16 17: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동열(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

김동열(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
 

알파고 다음은 ‘베타고’라고 한다. 더 많은 그리고 더 수준 높은 인공지능(AI) 프로그램들이 인간을 시험에 들게 하려고 기다리고 있다.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3연속 불계패를 안겼을 때 만감이 교차했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책임자는 아직 시험단계에 불과하다고 겸손을 떨었지만 나는 공포에 떨었다. 인공지능(AI)의 수준이 이 정도까지 발전했을 줄이야. 영화 터미네이터나 매트릭스에서 봤던 스토리가 이제 현실이 되는 것인가? 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이 변화시킬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면서도 두렵다.

알파고에 놀라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장 걱정한 것은 ‘일자리’였다. 과연 앞으로 우리의 일자리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 인공지능(AI)을 장착한 로봇이 인간의 일을 대신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미래의 인간은 도대체 어떤 일을 하고 있을 것인가?

과거에 기계는 인간의 부족한 일손을 보완해줬다. 필자가 시골에 살던 1960~70년대만 하더라도 도리깨질을 했고, 홀태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더니 발로 구르는 수동탈곡기가 나왔고, 모터가 달린 자동탈곡기와 경운기를 활용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콤파인으로 벼 베기와 탈곡을 혼자서 끝내버리게 되었다. 시골의 부족한 일손을 기계가 대신하면서 농촌에서 기계와 인간이 공존하고 있다. 지금 농촌에서는 모내기, 벼 베기, 탈곡 등 중요한 공정을 기계가 대신해 주면서 도시화와 고령화의 빈틈을 농기계들이 메워주고 있다.

로봇은 소위 3D 작업을 대신해줬다. 자동차 생산라인에 들어가 보면 위험하고 어렵고 지저분한(3D) 작업들을 로봇이 대신하고 있다. 자동차 생산의 자동화는 과거에 비해 크게 진전되어 있고 앞으로도 더 진전될 것이다. 자동차 1대 생산에 필요한 근로자의 숫자도 갈수록 줄어들 것이다. 그렇다고 수십년간 숙련된 자동차 마이스터의 세심한 눈길과 손길마저 필요 없는 것은 아니다.

이제 인공지능은 인간의 창의적 업무에까지 도전하고 있다. 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는 현재 시속 40킬로 정도에서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고 한다. 테스트단계에 있다. 하지만, 시속 200킬로의 속도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면 구글의 무인자동차는 상업화의 수순을 밟게 될 것이다. 택시나 자가용을 운전하는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그 일자리 자체가 완전히 사라지진 않을 것이다. 1990년대에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종이신문이 사라지고 종이책이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필자는 아직도 집에서 신문을 구독하고 종이책을 보는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았다. 컴퓨터와 인공지능(AI)의 발달로 많은 직업이 줄어들거나 사라질 것이다. 고통스럽겠지만 그분들은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인공지능(AI)을 조류독감(AI)처럼 두려워하지만 미리 준비한다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미래의 일자리는 어떤 일자리일까? 지금보다 더 창의적이고, 더 개인적이고, 더 프리랜서 스타일이다. 이제 구글의 드론이 보편화된다면 배달 업무처럼 단순한 일자리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인공지능과 로봇의 보편화에 미리 대비하면서, AI와의 공존, 상생, 동반성장을 모색해야 한다. 인공지능과 이를 장착한 로봇이 대신할 수 없는, 대신하기 어려운 일은 무엇인가? 인간의 휴식과 감성에 관련된 일,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일, 미래사회의 예측과 관련된 일 등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우리의 교육도 알파고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도 이처럼 빠른 과학기술 및 사회의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알파고 역시 약점은 있었다. 이세돌 9단이 3패 끝에 1승을 했다. 아무리 학습능력을 지니고 있고 스스로 진화하는 능력을 지닌 알파고라고 하지만 그 역시 인간이 짜 넣은 프로그램의 틀 속에서 작동하는 것이다. 수많은 빅데이터와 1200대에 달하는 슈퍼컴퓨터의 네트워크를 벗어나는 창의적인 수(手)에 알파고가 ‘떡수’를 연발했고 이세돌 9단에게 무릎을 꿇었다.

지금 선진국의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수준 높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수십년 뒤쳐진 대한민국의 AI 관련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해야겠다. 창조적 교육으로의 전환도 시급하고,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적 활용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그것도 안하면 또 소를 잃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