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안보실장에 김관진…'북한이 가장 싫어한 국방장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6-01 15: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방장관에 한민구 전 합참의장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국가안보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김관진 신임 국가안보실장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응징 의지를 피력할 때 눈에 힘을 주고 강한 어조로 말해 '레이저 김'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대북 강성 이미지가 강하다.
 

[사진= SBS 캡쳐] 김관진 신임 국가안보실장

3년 6개월 동안의 국방장관 재임기간 '도발원점 타격', '지휘세력까지 타격' 등 북한이 도발하면 굴복할 때까지 응징하겠다는 대북 강경 발언을 쏟아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따라서 대북 억지력과 한미 동맹을 중시하는 현 정부의 안보 및 대외정책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전북 전주 출신인 그는 육군사관학교 28기로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의 육사 1년 후배다. 야전 경험이 풍부하고 전략, 정책, 전력증강 분야 등에서도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현역 군인시절 35사단장,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2군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3군사령관, 합참의장 등 군의 요직을 거쳤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직후인 2010년 12월 4일 국방장관에 취임해 군 개혁을 추진하기도 했다.

또 정부가 바뀐 이후 국방장관에 유임된 첫 사례이기도 하다. 

역대 4번째로 긴 국방장관 재임기간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을 거치면서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비한 안보태세를 튼튼히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역대 국방장관 중 대국민 인지도가 가장 높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북한은 김 신임 안보실장의 국방장관 재임기간 '특등 호전광', '역도', '괴뢰패당 우두머리', '첫 벌초대상' 등의 원색적인 용어를 쓰면서 비난해 왔다. 이 때문에 북한이 가장 싫어하는 국방장관이라는 평가도 받았다.
 

[사진= 국방부] 한민구 국방부장관 내정자

한편, 국방장관에 내정된 한민구 전 합참의장은 군 출신으로는 드물게 '문무겸비형' 인사로 꼽힌다.

한 내정자는 국방부와 육군본부, 교육사 등 정책부서에서 쌓은 다양한 업무경험을 바탕으로 정책·전략기획 업무분야에서 최고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온화하고 친화력 있는 성품으로 뛰어난 갈등관리 능력이 있다는 후문이다. 

한 내정자는 2006년 국방부 정책기획관(소장) 재직 당시 열렸던 남북장성급회담의 우리측 수석대표를 맡아 당시 북측 대표였던 김영철 현 정찰총국장과의 대북 협상 경험도 있다.

합참의장 재임 시절인 지난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공동국지도발대비계획' 작성을 사실상 주도했다. 이 계획은 북한의 국지도발 시 미군의 전력까지 가세해 도발을 응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엔 국민행복추진위원회 국방안보추진단에들어가 국방·안보분야 정책을 조언하기도 했다.
 
한 내정자는 구한말 항일 의병장이었던 한봉수 선생의 손자이기도 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