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구조 변경으로 선박 침몰했다면 보험금 지급 의무 없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5-01 08: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 법원이 무리한 구조 변경으로 배가 침몰했다면 보험회사는 선박 운항사에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했다.

이번 판결로 무리한 증축 등 구조 변경이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세월호 침몰 사건과 맞물려 보험금 지급 여부가 주목된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1부(부장 오영준)는 1일 동부화재가 석정건설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동부화재에 보험금 지급 채무가 없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보험 약관에 규정된 ‘해상 고유의 위험(Perils of the seas)’이 이 사건 침몰 사고의 지배적이고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오히려 대대적인 구조 변경이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어 “피보험자 측이 선박의 구조상 하자나 사고 발생 가능성에 관해 상당히 주의를 결여했다고 볼 수 있다”며 “약관상 보험금 지급 의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석정건설이 보유했던 선박 ‘석정36호’는 1984년 일본에서 건조돼 2007년 수입된 노후 작업선이었다. 이 배는 2012년 12월 울산신항 3공구 공사 현장에서 작업 도중 한쪽으로 기울어 침몰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 23명 중 12명이 선체에 갇히거나 바다에 빠져 사망했다. 현장 책임자 김모씨는 업무상 과실선박매몰, 업무상 과실치사상, 해양환경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돼 항소심에서 징역 1년6월이 확정됐다.

조사 결과 석정건설은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전문가 안전 진단 없이 임의로 작업 설비를 증축했고, 그 결과 무게가 500t 이상 늘면서 사고원인은 무리한 구조 변경으로 드러났다. 선박안전기술공단 부산지부는 증설된 설비 무게와 위치를 감안하면 현저히 무게 중심이 상승해 선박의 복원력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의 소견서를 냈다.

이에 동부화재는 선박 보유 회사의 보험금 청구에 대해 소송을 냈고, 법원은 보험사 주장을 받아들여 보험금 지급 의무가 없다고 판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