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은 ‘마거릿 대처,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라는 주제의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히고 “시장의 힘을 믿으며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대처리즘은 세계 곳곳의 자유주의자와 국가들에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 |
한국경제연구소는 17일 오후 광화문 S-TOEWR 22층 베르텍스홀에서 '마가릿대처,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란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사진 왼쪽부터 권혁철 자유경제원 박사, 김이석 시장경제제도연구소 박사, (사회)박동운 단국대 명예교수, 박지향 서울대 교수, 신중섭 강원대 교수, 현진권 한경연 사회통합센터 소장) |
발제자로 나온 박지향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는 “마가렛 대처의 평전을 쓴 저자로서 영국에서 자료를 수집할 때 대처와 전국 광산노조와 투쟁이 있었다”면서 “그때는 대처가 정말 미웠지만 세월이 지나고 역사를 공부하면서 생각을 바꿨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대처는 정치인이 단지 몇 년의 임기 동안 정부를 ‘경영’하고 물러가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나라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면서 “경제적으로는 통화안정으로 인플레이션을 치유하고, 재정지출을 삭감해 작은 정부를 실현했으며, 시장경제를 활성화해 개인과 기업의 진취적 기상과 정신을 도모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17일(현지시각) 오후 7시경 영국 런던 도심에서 마거릿 대처 전 총리의 장례식이 거행된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조문 사절단과 수십만 명의 추도객이 참석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