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도서관 사서직 33년 만에 사무관으로 승진 임용된 허경자(54)씨의 얘기다.
기재부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서직 허경자씨는 17일 5급 사무관으로 승진 임용돼 잔잔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번 인사는 행정직 위주의 인사관행을 과감히 탈피하고 소수직렬에게도 승진임용 기회를 적극 부여한 것으로써 열린 인사운영의 대표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허 사무관은 1979년 고용직으로 공직에 입문한 이래 재무부, 재정경제원,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에 이르기까지 30년 넘게 도서관을 관리해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경제디지털도서관’을 도입한 것인데, 허 사무관의 아이디어로 추진된 이 작업을 통해 재정부 공무원들이 2만 여종에 이르는 정부 간행물, 연구보고서, 도서, 통계자료 등을 도서관에 직접 방문하는 발품을 팔지 않고도 열람할 수 있게 됐다.
그는 또한 재정부 도서관에 없는 자료에 대해서는 타 부처 및 연구원 등에 협조를 구해 반드시 “4일 이내에 지원 한다”는 원칙을 마련해서 시간에 쫓기는 공무원들의 일손을 한결 덜어주는 등 국가 경제정책을 마련하는데 ‘숨은 공로’를 세웠다는 평가다.
특히 그가 도입한 경제디지털도서관은 각종 국내외 경제도서 및 정책자료에 목말라하는 재정부 직원들에게 엄청난 호응을 얻어 이번 승진인사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 사무관은 그동안 1000여명의 재정부 직원이 이용하는 도서관의 수많은 자료를 차질없이 관리해오는 성실함을 보였다. 또 도서관에 없는 자료요구에도 타 부처나 경제연구원 등과 협조해 4일내에 지원한다는 원칙을 마련해 운영하는 등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는 “구하기 어려운 국내외 경제도서를 갖춰 놓으면 기뻐하는 기재부 직원들을 볼 때마다 참 뿌듯했다”며 소감을 밝혔다.
기재부는 올해 말에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한다. 책으로 이루어져 짐이 무거운 도서관이 제일 먼저 신(新) 청사에 이삿짐을 풀게 되면서 허 사무관도 세종시에서 새 출발을 하게 된다.
이에 허 사무관은 “정부세종청사 도서관은 지금보다 20평 정도 넓어진다는데 새로운 각오로 계속 일하고 싶다”며 포부를 드러냈다.
그는 재무부가 경제기획원과 통합돼 재정경제부가 되고 기획예산처와 분리됐다가 다시 기획재정부로 합쳐지는 세월 동안 도서관을 지켜왔다.
한편 기재부는 지난 4월 사무관 승진 대상자가 되고 6주간의 교육을 마친 직후 그를 도서관 사서직 사무관으로 발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