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vs. 민주, ‘저축은행 로비 의혹’ 전면전으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01 11: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저축은행 비리사건을 둘러싼 정·관계 로비 연루 의혹을 드고 청와대와 민주당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청와대와 민주당은 31일 하루 종일 상대 측 인사들을 정조준하며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전날 정진석 정무수석과 박영준 지식경제부 제2차관 등 청와대 및 정부 고위인사들의 로비 연루 가능성을 제기한 민주당 박지원, 이용섭 의원과 이명박 대통령의 대통령훈령(비위공직자 의원면직 처리조항) 위반을 주장한 같은 당 박선숙 의원에 대해 “근거 없이 음해하는 건 국회의원으로서 자격이 없다”며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청와대는 민주당 소속 의원이 전남 목포의 ‘보해저축은행’ 구조조정을 막기 위해 청와대에 로비를 시도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목포는 박지원 의원의 지역구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기자들과 만나 “저축은행 사태는 과거부터 축적돼 온 ‘부실의 카르텔’”이라며 “지금 감사원과 청와대는 그런 부실 부분에 메스를 대고 있는 중이고, 이전에 그런 부실 카르텔을 만든 사람들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사활을 걸고 감사원과 금융당국 등에 퇴출저지를 시도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지난 정부에서 저축은행이 커온 것을 볼 때 일정부분 로비가 성공했다고 볼 수 있지만, 현 정부 들어 부실을 정리하는 과정에선 그런 로비 시도를 뿌리쳤기 때문에 실패했다고 본다”며 “만일 현 정부에서 로비가 성공했다면 부산저축은행이 퇴출됐겠냐. 저축은행의 부실과 허점이 드러났겠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이날 서울 대방동 여성플라자에서 열린 의원 워크숍에서 “난 청와대 경제수석실에 전화 한 번 한 적 없다”며 “청와대 인사들이 자기들만 살려고 이렇게 나오면 나도 계속 (의혹을) 밝혀내겠다. 이대로 넘어갈 순 없다”고 맞섰다.
 
 자신은 토요일인 지난 2월19일 지역구에 있다가 갑자기 보해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자 김석동 금융위원장에게만 “주말에 이렇게 하면 어쩌냐”고 전화한 사실밖에 없다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이어 그는 전날 청와대 정 수석이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회장과의 친분을 ‘부인’한데 대해 “우정힐스골프장과 청담동 한정식 집에 가면 (정 수석과) 구속 기소된 신회장이 밀접한 관계임을 다 알 수 있다. 정 수석은 당신이 한 일을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조영택 의원도 “캐나다로 출국한 로비스트 박태규씨가 포스텍의 부산저축은행 유상증자에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김두우 청와대 기획관리실장과 각별하다고 한다”며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또 조 의원은 “부산저축은행 최대주주인 박연호씨와 같은 고교 출신 의원이 우리 당에 8명 있지만, 나를 포함한 동문 의원들은 티끌 만큼도 로비에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조 의원의 의혹 제기에 대해 김 실장은 청와대 춘추관을 통해 “근거 없는 의혹 제기에 대해 대꾸할 가치를 못 느낀다”면서 “정치적 공작은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