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다음달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환율문제를 비롯한 주요 현안에 대한 타협안이 도출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다. 다만 각국 정상과 중앙은행 총재 등이 잇따라 '대타협'을 촉구하고 나서며 의장국인 우리나라에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있다.
◇"해법 도출 안 될 것" 비관론 확산
파이낸셜타임스(FT)는 19일(현지시간)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세계 경제 불균형과 환율 갈등에 대한 해법이 도출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가 줄을 잇고 있다고 보도했다. 각국이 최근 자국 통화 가치 상승을 막기 위한 조치들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이 지난 18일 외국인 투자자가 브라질 채권에 투자할 때 물리는 금융거래세(IOF)의 세율을 4%에서 6%로 올린 게 대표적이다. 브라질은 이달 초 이미 IOF 세율을 2%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21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G20 재무장관 회의에도 불참하기로 했다.
FT는 G20 정상회의에서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지 않으면 통화강세로 고전하고 있는 신흥국들이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더 많은 개별 조치들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FT는 또 의장국인 한국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리더십을 강조하고 싶겠지만, 한편으로는 원화 가치 상승을 막기 위해 보다 직접적인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타협' 주문 쇄도 韓 역할론 강조
각국 지도자들은 우려와 함께 대타협의 필요성도 강조하며 한국에 막중한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이날 FT와의 회견에서 이번 G20 정상회담은 '마음의 회동(meeting of minds)'이 돼야 한다며 금융개혁과 세계 경제 불균형 시정을 위한 각국의 공조를 주문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의 멜빈 킹 총재는 이날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공통 이익 실현에 나서지 않으면 각국이 무역 보호주의로 무장하게 되는 일은 시간문제"라며 "강대국 사이에서 먼저 '그랜드바겐'이 성사되고 중국과 같은 무역수지 흑자국은 내수 창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리 렌 유럽연합(EU) 경제통화담당 집행위원도 "이번 회의가 세계 경제 성장의 균형을 되찾기 위한 공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