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주상복합 대형화재에 사실상 무방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01 21: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1일 발생한 부산 해운대 마린시티 우신골든스위트의 화재를 계기로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서 대형참사를 막으려면 특화된 화재 진압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건물 4층에서 발생한 불길이 알루미늄 마감재를 타고 순식간에 옥상까지 번지자 고가사다리차를 비롯한 고층건물용 화재 진압 장비가 전혀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등 기존의 진화작전이 무력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날 불은 저층 아파트였다면 쉽게 잡혔겠지만,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이라는 구조적 특성에다 소방당국의 미숙한 대응 탓에 대형화재로 번졌다.

◇고층 화재 위험요인 수두룩 =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올해 1월 현재 전국적으로 아파트와 복합건축물을 포함해 지상 11층 이상의 고층 건물은 전국적으로 8만3천725곳이나 되지만 이들 건물은 체계적인 화재 대비책 없이 위험 요인만 잔뜩 안고 있다.

우선 초고층 건물은 상층부로 불길과 연기가 확산될 때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또 고층으로는 소방대원이 진입하기 힘들고 인명구조 작전을 펼치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화재 확산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도록 설계된 발코니를 용도 변경하는 사례도 많아 위험을 키우고 있다.

단지 내 조경과 구조물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고가 사다리차와 안전매트 등 을 배치할 공간을 찾기도 쉽지 않다.

이밖에 건물 안팎의 압력차에 따른 굴뚝효과로 매연이 급격히 내부로 퍼져 나갈 위험이 큰 데다 창문이 아예 없거나 매우 작게 설계된 건물이 많아 화재 진압 활동에 장애요인만 무수히 많은 실정이다.

특히 최근 급격히 늘어난 31층 이상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은 이런 요인이 중첩돼 진압 활동이 더 힘들 수밖에 없다.

서울에만 31~40층 주상복합건축물이 84곳이고 41~50층 26곳, 51~60층 7곳, 61층 이상도 3곳이나 되는 등 총 120개의 주상복합건축물이 있다. 또 31층 이상 아파트도 76동이나 된다.

◇특화장비 부족 = 이에 비해 소방당국의 장비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전국적으로 소방방재청이 보유한 장비는 고가사다리차 194대, 굴절사다리차 213대, 무인방수탑차 7대, 헬기 26대 등이며, 서울에는 각각 25대, 28대, 2대, 3대가 있다.

그러나 고가사다리차와 굴절사다리차, 무인방수탑차는 이날 화재를 통해 드러났듯이 20층 이상 건물에서는 전혀 힘을 쓸 수 없었다.

결국 헬기 등 초고층 화재에 특화된 장비를 확보해야 하고, 건물 내에도 자체 진압 설비를 확충해야 한다고 소방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또 수시로 장비를 점검하는 한편 민관합동으로 사전에 철저한 진압 예비훈련을 해 신속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