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창어2호 발사는 '중화부흥' 의지 재선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01 21: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중국이 1일 두번 째 달 탐사위성인 '창어(嫦娥) 2호' 발사에 성공한 것은 국경절을 맞아 국내외에 위대한 중화 부흥을 다시 선언한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외교력과 함께 과학기술이 뒤져 서방에 반(半) 식민지 상태의 치욕을 당했다고 분석하고 있는 중국은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우주개발 부문에서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지난 2007년 10월 공산당 제17차 전국대표대회(17전대) 개막식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정치보고서를 통해 위대한 중화 부흥을 공식 선언한 지 9일 만인 24일 최초의 달탐사 위성 창어 1호 발사에 성공한 지 3년 만에 창어 2호를 쏘아 올려 달로 보냈다.

중화부흥의 자취는 G2(주요 2개국)에 오른 중국의 국제적인 지위상승과 세계 2위의 경제대국 등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지만 과학기술력으로도 이를 과시하겠다는 베이징 당국의 의지가 창어2호 발사에서 읽혀진다.

발사시기가 10월이 가장 적합하다고 하지만 발사날짜를 중국 61회 국경절에 잡은 데서 우주쇼를 통해 국내외에 우주과학기술력을 과시하고 건국 61주년을 자축하려는 의도가 확연히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7년 전인 2003년 10월 유인 우주선 선저우(神舟) 5호의 발사 성공으로 우주시대의 개막을 선언하고 우주강국 클럽에 진입한 데 이어 2005년 10월 두명의 우주인을 태운 선저우 6호를 우주에 쏘아 올렸다.

이어 지난 2008년 베이징(北京)올림픽에 맞춰 유인 우주선 선저우 7호를 발사, 우주유영에 성공한 데 이어 2년 만에 두번째 탐사 위성을 달에 보내는 쾌거를 이룩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창어2호에 이어 달탐사 제2기 프로젝트를 통해 창어 3호 및 4호를 계속 발사, 연착륙기와 탐사 차량을 달에 보냄으로써 2025년을 전후해 유인 우주선을 달에 착륙시킨다는 야심찬 장기 계획이다.

중국의 창어 2호의 발사 성공은 이미 시작된 중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3국간에 달 탐사경쟁에 불을 더욱 지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지난 2007년 9월 가고시마(鹿兒島)현 다네가시마(種子島) 우주센터에서 달 탐사 위성 '가구야'를 H2A로켓 13호에 실어 발사하는데 성공, 3국간 경쟁에서 한발짝 앞서 나갔다.

인도는 2008년 10월 달 탐사 위성 '찬드라얀 1호'를 쏘아 올려 달 탐사 경쟁에 가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