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연합은 "서울시가 빗물펌프장 41곳 설치를 내년까지 완료하고 저지대 빗물펌프장 40곳, 저류조 8곳을 추가로 추진한다는 대책을 발표했는데 2007년에도 '2010년까지 빗물펌프장 52곳을 신·증설하고 빗물펌프장 111곳의 전기 설비를 보강하며 하수관거 250㎞ 정비와 하천제방 28㎞를 보강한다'는 계획을 내놨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6년 이후 서울에 빗물펌프장이 하나도 건설되지 않았고 하수관로 등에 투자된 예산도 없어 지난 4년간 홍수관리를 위한 정책과 예산은 `실종상태'였다"며 "2010년 계획은 관련 예산이 2007년 계획의 절반 이하에 불과하고 하수관거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어 졸속"이라고 주장했다.
환경연합은 거대도시 서울에서 빗물펌프장, 저류지 몇 개로 해법을 찾는 건 위험하고 비효율적인 발상으로 지역, 시기, 대상에 따른 다양한 방법이 도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연합은 "신월동과 화곡동은 대부분 저지대이고 토지 이용을 극대화하려고 지하, 반지하 개발이 의무화됐던 곳임을 고려해 역류방지 시설을 지원하고 반지하 이용을 제한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