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이석채ㆍ정만원, 차세대 전략 '두뇌싸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11-01 23: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석채 KT 회장                           정만원 SK텔레콤 사장

국내 통신업계을 대표하는 최고경영자(CEO)들이 통신시장의 성장정체 탈출을 놓고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석채 KT 회장은 성장정체 탈출을 위해 KT-KTF 합병 근거로 내세운 유ㆍ무선 통합 전략을 선택했다.

반면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유ㆍ무선 통합이 성장정체 탈출의 해결사가 될 수 없다며 개인고객(B2C)이 아닌 기업간거래(B2B)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생산성증대(IPE) 전략을 들고 나왔다.

이 회장이 유ㆍ무선의 인프라를 활용한 컨버전스 시장에서 승부수를 띄웠다면 정 사장은 무선 인프라를 타산업과 연계하는 B2B 사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정했다.

성장정체 탈출 전략을 놓고 통신업계 양대산맥인 KTㆍSK텔레콤의 CEO들이 본격적인 두뇌싸움을 시작한 것이다.

KT는 최근 휴대전화로 3세대(3G) 서비스와 인터넷전화(VoIP)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유ㆍ무선 컨버전스(FMC) 서비스를 출시했다. 차세대 통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이 회장의 의지가 적극 반영됐다.

FMC는 와이파이(WiFi)가 가능한 집이나 사무실에서는 휴대전화를 인터넷전화로 사용해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 회장은 FMC 서비스로 무선 부문의 매출이 감소할 수 있지만 그만큼 가입자가 늘어날 수 있어 유ㆍ무선 컨버전스 시장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포석이다.

이에 반해 정 사장은 통신시장에서의 가입자 경쟁으로 성장정체를 극복할 수 없다고 판단, 기존 B2C 사업에서는 점유율을 유지하는데 주력하고 신성장동력으로 B2B 사업을 육성키로 했다.

정 사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오는 2020년 B2C 20조원, B2B 20조원 등 매출 40조원 회사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 회장과 정 사장이 차세대 전략을 놓고 엇갈린 행보를 보이는 만큼 업계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우선 이 회장의 유ㆍ무선 컨버전스 전략은 이동통신 1위 SK텔레콤을 견제해 차세대 통신시장 선두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실속전략'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 사장의 IPE 전략에 대해서는 통신시장의 성장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회장의 FMC 전략은 SK텔레콤과 LG텔레콤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KT를 성장정체에서 탈출시킬 핵심 전략이 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 사장의 전략에 대해서도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반응이다.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IPE 시장에서 향후 10년 동안 매출 20조원을 달성한다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

또 구체적인 방안 제시도 없이 현재 12조원 수준의 B2C 매출을 2020년에는 20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도 현실성이 없다는 평가다.

SK텔레콤 한 고위관계자는 "2020년 매출 40조원 회사를 만들겠다는 것은 정 사장의 포부"라며 "하지만 실제로 가능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영민 기자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