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현지에서 활동하던 ‘노쇼 사기조직' 소속 한국인 17명이 현지 당국과 우리 정부의 공조로 검거됐다. '코리아 전담반' 출범 이후 캄보디아 현지 스캠조직을 적발한 첫 사례다.
국가정보원은 27일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위치한 노쇼 사기 범죄 조직의 본거지를 지난 13일 급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번에 적발한 범죄조직은 한국인과 외국인으로 구성됐으며 지난 5월부터 현재까지 1만5000여개 국내 소상공인으로부터 약 35억원을 편취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른바 '노쇼–대리구매' 사기는 스캠조직이 정부·공공기관 등을 사칭해 소상공인들에게 단체회식 혹은 대규모 용역계약을 의뢰한 후 이를 미끼로 고가의 물품을 다른 위장업체에서 대리구매할 것을 요구해 돈을 가로채는 범죄를 의미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범죄 수법이 언론이나 수사기관 발표를 통해 알려질 경우 군 부대 등으로 조직원 인터폴 수배 등 사칭기관을 바꾸고 폐기물 처리·방독면 구매 등 새로운 방식을 구사하면서 우리 소상공인들에게 많은 피해를 끼쳐왔다.
이번 적발은 지난 10월 27일 한·캄 정상회담 당시 양국 합의에 따라 출범한 코리아 전담반이 캄보디아 현지에서 스캠조직을 적발한 첫 사례다.
앞서 국정원은 지난 7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서 한국인 등으로 구성된 노쇼-대리구매 스캠 조직이 왕성하게 활동 중인 정황을 포착, 추적을 시작했으며 해당 조직의 캄보디아 소재지·한국 조직원 신원·디지털 기록 등 추적 단서를 입수해 '보이스피싱 정부합동수사단'에 지원하고 공조 추적을 진행했다.
이후 보이스피싱 정부합동수사단은 국정원에서 정보를 지원받은 즉시 수사에 착수하고, 범죄조직원 인터폴 수배 등 법적 절차를 완료했으며 코리아 전담반을 통해 관련 사항을 캄보디아측과 실시간 공유해왔다. 캄보디아 경찰도 우호적 태도로 적극적으로 협력해 단속이 신속하게 이뤄지게 됐다.
아울러 경찰청(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은 범행 대상이 될 우려가 있는 소상공인에게 사전에 연락해 주의를 당부하는 등 예방 노력도 병행해 피해를 최소화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코리아 전담반을 중심으로 캄보디아 경찰과 긴밀히 협력해 우리 국민을 노리는 초국가범죄조직을 끝까지 추적·발본색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