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예정대로 27일 0시 55분에 우주로 향한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우주청) 청장은 26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열린 발사관리위원회 결과 브리핑에서 "모든 조건을 점검한 결과 누리호 발사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됐다"며 "예정대로 27일 0시 55분 정각에 발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7시 30분 우주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이번 4차 발사의 주요 절차인 추진제 충전 여부를 결정하고 발사 최종시각을 확정하기 위한 '누리호 4차 발사관리위원회(위원회)'을 열었다.
윤 청장은 이날 오전 연료와 산화제를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컬 연결, 기밀점검 등 모든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우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45분 발사관제장비의 발사 운용을 시작했다. 이후 오후 7시 25분부터 추진 공급계 점검, 상온헬륨 충전을 진행했다. 윤 청장은 "발사 준비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발사 성공의 열쇠로 꼽혔던 나로우주센터의 기상 환경도 완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나로우주센터의 온도는 9도, 강수는 없는 상태다.
발사 시각을 기준으로 구름 없는 맑은 기상이 예상되며, 강수 확률도 0%로 나타났다.
가장 걱정했던 바람의 경우 현재 지상풍의 평균 풍속은 1m/s다. 제트기류가 흐르는 고층풍도 발사 가능 조건을 만족했다. 낙뢰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주 환경도 충족했다. 태양흑점 폭발, 태양입자 유입, 지자기 교란 등을 분석한 결과 태양 활동에 의한 발사 영향은 없을 예정이다.
우려됐던 국제우주정거장과 충돌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윤 청장은 "우주 물체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분석한 결과 발사 시간대 충돌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발사 조건이 완벽하게 갖춰진 누리호는 오후 10시 10분경부터 연료와 산화제 충전을 시작한다.
이후 오후 11시 25분 연료 충전을 완료할 예정이다. 산화제 충전은 오후 11시 55분에 진행된다.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은 발사 10분 전인 27일 0시 45분에 진행된다. 이때 발사 자동 운용 모드로 전환되는데 자동 운용 중 이상 현상을 감지하면 발사가 중단될 수 있다.
윤 청장은 "우주청과 항우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탑재 위성을 성공적으로 목표 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발사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