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전영현·노태문 투톱 체제로 복귀하면서 변화보단 안정을 택한 인사라는 평가가 나온다.
각각 반도체와 모바일 수장으로, 올해 성과를 인정하는 동시에 내년 글로벌 경쟁 심화 파고를 지혜롭게 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1일 승진 1명, 위촉업무 변경 3명 등 총 4명 규모의 '2026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발표했다.
올해 정기 사장단 인사의 핵심은 전영현 부회장과 노태문 사장에게 계속 힘을 실어주며 안정을 택했다는 것이다.
이번에 유임되며 반도체 경쟁력 향상에 전념하게 된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해 DS부문장으로 전격 투입된 뒤 메모리사업부장을 겸직해왔다. 메모리사업부장 겸직을 유지하는 대신 삼성종합기술원(SAIT) 원장직은 내려놓으면서 반도체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올해 반도체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HBM3E의 엔비디아 공급이 시작됐고, 내년 HBM4 공급도 유력한데, 경쟁사에 비해 뒤쳐졌던 경쟁력을 단시일 내에 복원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범용 메모리사업도 순항 중이며, 특히 파운드리는 테슬라와 초대형 계약을 맺으며 종합반도체기업(IDM)의 위상을 이어가게 됐다. 소방수로 뛰어든 전영현 부회장이 성공인 한 해를 보냈다는 의미다.
노태문 사장은 DX부문장 직무대행에서 정식 DX부문장이 됐으며, MX사업부장 겸직도 유지한다. 지난해 갑작스럽게 직무대행을 맡은 노 사장은 지난해 스마트폰·TV·가전 등 삼성전자 소비자 가전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갤럭시 S25' 개발 완성도 제고,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확대, 인공지능(AI)·로봇·홈 플랫폼 전략 가속화 등 글로벌 혁신을 주도했다.
삼성전자는 전영현·노태문 투톱 체제를 공고히하면서 조직 분위기를 다지는 한편 내년에 심화될 글로벌 경쟁에서도 앞서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두 리더의 사업부문 겸직이 경영 의사 결정을 신속히 하고 통합 전략을 짜기에 용이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AI 중심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도 보인다. 윤장현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 부사장이 삼성전자 DX부문 CTO 사장 겸 삼성 리서치장으로 승진했고, 박홍근 하버드대 석좌교수는 삼성전자 SAIT(삼성종합기술원) 원장 사장으로 영입했다. 윤장현 사장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문가이며, 박홍근 원장은 글로벌 공학계 석학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