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는 14일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당분간 피하라고 경고했다.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가운데 중국인 비중이 가장 높은 만큼 관광업 타격을 노린 실력 행사라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일본을 찾은 중국인은 748만 명으로 국가별 1위다.
중국 국유 항공사 3곳은 일본행 항공권 취소와 변경을 무료로 해주겠다고 발표했다. 도쿄 오사카 등 일본을 오가는 노선이 대상이며 기간은 12월 31일까지다. 일본 기업들도 긴장하는 모습이다. 일부 기업은 중국 내 홍보를 자제하고 국유기업과의 협의가 지연되고 있다고 전했다.
도화선은 다카이치 총리의 국회 발언이다. 그는 중국이 대만을 해상 봉쇄할 경우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는 ‘존립 위기 사태’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를 공식적으로 존립 위기 사태라고 규정한 것은 처음이다.
중국 교육부는 16일 일본 유학을 계획한 학생에게 치안 불안을 이유로 “신중하게 판단하라”고 공지했다. 일본 내 중국 유학생은 12만 명 이상으로 해외 유학생 중 가장 많다. 일본 유학까지 제동을 거는 조치는 일본 여론에도 큰 파장을 낳고 있다.
일본 정부는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해 외교 접점을 찾고 있다. 오는 22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다카이치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의 회담이 성사될지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중국 관영 매체가 “모든 후과는 일본이 져야 한다”며 추가 제재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양국 관계는 당분간 냉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