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소비자 보호' 다짐…그보단 공직자 신뢰부터 찾아야

ㅇㅇ
 
 
“30대 자녀가 둘 있는데 같이 살고 있다. 30년 넘게 쌓인 저의 변호사 사무실 관련 서류 등으로 집이 비좁아 한 채를 처분하면 공간이 좁아지는 불편이 있다. 그러나 고통을 감수하고 처분하려고 부동산에 내놨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7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남 소재 약 47평 아파트 두 채를 두고 다주택자 논란이 일자, 하나를 처분하기로 했다며 밝힌 말이다. 하지만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집 한 채도 마련하기 버거운 이들에게 쉬이 공감을 얻긴 힘든 발언이다.
 
당장 온라인 커뮤니티만 봐도 국감 이후 이찬진 원장에 대한 민심이 돌아선 걸 알 수 있다. 이들은 “부동산에 누구보다 진심이었다”, “부동산 사지 말라더니 전방위 매입했다” 등 비판하며 이찬진 원장에 대한 불신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처럼 비판이 나오는 건 단순히 아파트 두 채를 보유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찬진 원장은 국감에서 쏟아진 아파트 매매 관련 질의에 수차례 말을 바꾸며 진정성 없는 모습으로 일관했다. 처음 자녀에게 한 채를 양도하겠다던 그는 다시 처분하겠다고 말을 바꾸기도 했다.
 
이후 부동산에 한 달 전 실거래가보다 4억원이나 높여 매물을 내놓으며 논란에 또 불을 지폈다. 부동산 규제를 주도하는 금융당국 수장임에도 정작 본인은 한 달 만에 4억원을 더 받겠다는 의도가 깔렸다고 사람들이 생각했기 때문이다. 개인 신분이었다면 적법한 행위지만, 공직자로서는 적절치 않은 행동이라는 비판도 따른다.
 
그 와중에 이찬진 원장은 금융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겠다며 연신 의지를 다지고 있다. 지난 5일에도 금감원 본원 1층 금융민원센터에서 직접 민원인을 상담하는 이른바 ‘경영진 민원상담 데이’를 진행했다. 현장에서 목소리를 듣고, 소비자 공감대를 넓히는 동시에 신뢰를 제고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돌아선 민심을 돌리기엔 하루짜리 민원상담으로 부독할 수밖에 없다. 앞에서 아무리 소비자 보호 강화를 외친다고 해도 여전히 진정성 없는 태도라면 언제든지 금융당국 수장으로서 리더십은 물론 국민의 신뢰를 잃기 쉽다. 더 이상 보여 주기 식이 아닌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줄 때다. 불과 약 3개월 전 금감원장에 취임할 당시 “국내 자금이 부동산으로 쏠리는 부작용이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던 그때의 초심으로 되돌아 가보길 기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