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그룹에 예금 이자로 총 14억5400만원을 지급했다.
전북은행이 7억87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은행(6억7300만원), 신한은행(6100만원), 우리은행(1100만원) 등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은행에는 프린스그룹 자금 911억7500만원이 예치돼 있다.
프린스그룹은 부동산·금융 등 사업을 영위하며 캄보디아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해 온 거대 기업집단이다.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인신매매·온라인 사기·불법 감금 등 각종 강력범죄의 배후 조직으로 지목되고 있다.
프린스그룹과 국내 은행 간 거래 금액은 2146억8600만원이다. 당초 금융감독원에서 파악한 수준(1970억원)보다 늘어난 수준이다.
이 중 전북은행이 1252억8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국민은행(707억8800만원), 신한은행(77억900만원), 우리은행(70억2100만원), IM뱅크(39억6000만원) 등 순이었다.
특히 전북은행은 후이원그룹이 2018년 8월 개설한 당좌예금 1건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이원그룹은 북한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 등으로 프린스그룹보다 앞서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 범죄조직'으로 지정된 곳이다.
또 전북은행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5위인 고팍스와 실명 인증계좌 제휴를 맺고 있어 현지 법인들의 검은돈을 세탁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강 의원은 "우리 정부의 범죄 관련자에 대한 제재 절차가 시급하다"며 "캄보디아 범죄조직과 거래한 은행 중 일부가 코인거래소 제휴은행이라는 점을 감안해 자금 세탁 가능성에 대한 철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