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경희 개인정보위 위원장 "개인정보 유출사고, 예방체제로 전환할 것"

  • "위원회 인력·예산 절대적 부족…기관 책임자로 노력할 것" 

송경희 신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0일 오후 취임 후 처음 기자실을 방문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송경희 신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0일 오후 취임 후 처음 기자실을 방문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최근 일련의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비롯해 개인정보 안전성을 침해하는 일들이 많았는데, 이들의 근본적인 원인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체제로 전환하는 데 집중하겠다"

송경희 신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0일 오후 취임 후 처음 기자실을 방문해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송 위원장은 "유출된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국경을 넘어가면 알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서 "예방 체제로 전환해 사전에 사고를 막는 게 비용 효율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개인정보가 국내에서만 생산되고 유통되는 것이 아니고, 국경을 넘어가면 유통 경로 등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다"면서 "기술적·제도적으로 정보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유통되는지 정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어 국제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 시대에 개인정보위의 인력 구성과 예산 확충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송 위원장은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보호해야 할 개인정보의 양과 종류가 급격히 늘고 있다"면서 "이런 와중에 개인정보위 인원은 지난 3년간 거의 늘지 않았고, 예산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기관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이런 부분에 신경을 쓰고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공지능(AI) 전문가로서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AI의 핵심은 데이터고, 데이터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가 AI 발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면서 "개인정보의 신뢰 기반 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제도도 함께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