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수 대책 이유 있었네...9월 수도권 신고가 거래 '급증'

  • 부동산 플랫폼 직방, 국토부 실거래 데이터 분석

  • 9월 신고가 비중 24% ↑...서초·광진 등이 견인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주택 시장이 다시 반등하면서 지난 9월 신고가 거래 비중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벨트(마포·용산·성동구) 등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확산되는 모습을 보였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지난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10월의 경우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9월과 신고가 비중이 비슷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서울 내부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회복 구조가 뚜렷했다.

9월 기준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이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 등으로 규제지역 내 주요 고가 주거지가 거래 회복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포구(44%)·성동구(43%)·광진구(50%)·동작구(36%)·강동구(37%) 등 이번 대책에서 규제지역으로 새로 지정된 이른바 '한강벨트'도 신고가 비중이 빠르게 상승했다. 핵심지부터 거래 회복이 나타난 셈이다.

강남 3구와 한강벨트에서 시작된 거래 회복세가 주변으로 퍼지며 영등포구(29%), 양천구(28%), 서대문구(24%) 등도 같은 기간 신고가 거래 비중이 확대됐다.

다만 노원·도봉·금천 등 외곽 일부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사진직방
서울, 경기 규제지역 월간 매매 거래량 및 신고가 거래 비중 [사진=직방]

경기도 역시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다.

9월 과천시(57%), 성남 분당(43%)·중원(23%)·수정(21%)구, 하남시(11%)에서 두 자릿수 신고가 비중을 기록했다.

다만 확산 속도에는 지역별 격차가 컸다. 용인 수지(8%), 수원 장안(8%), 팔달(6%), 광명(7%) 등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인 반면, 비규제지역은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번 10·15 대책은 강남권과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격 상단 압력을 관리하고 시장 기대 심리를 조정하기 위한 안정 조치"라며 "가격 수준뿐 아니라 거래 흐름과 수요 이동 경로, 심리 확산 가능성까지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으론 대책 발표에 따른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받을 것"이라면서 "다만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