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7169㎞ GPR 탐사....공동 578개 선제 조치

  • 연간 'GPR 탐사 연장' 9월 기준 7169㎞...10년 새 약 12배 증가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전체 조회 화면 사진서울시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전체 조회 화면.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지난 10년간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한 결과, 조사연장은 약 12배 늘고 1㎞당 발견된 공동(땅속 빈 공간) 수는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19일 밝혔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조치하는 대표적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 GPR 탐사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례 탐사해 왔다.

연간 조사연장은 2015년 614㎞→ 2025년 9월 기준 약 7169㎞(약 11.7배 증가)로 늘었다. 시는 연말까지 9000㎞에 대한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연간 1만8000㎞를 탐사할 계획이다. 또 굴착공사장 주변, 일반도로 구간 등도 매년 전수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문 인력을 현재 7명에서 올해 말까지 10명으로 확충하고, 차량형 GPR 장비 3대를 연말까지 추가로 확보해 총 10대(차량형 7대, 핸드형 3대)로 운영할 예정이다.

GPR 탐사가 시작된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조사연장은 총 3만 3129㎞에 이른다.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총 7760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 수준이다.

탐사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연간 발견되는 공동의 수도 늘었으나, 1㎞당 공동 발견 건수는 2015년 0.41개→ 올해 0.08개로 10년간 약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시는 촘촘한 GPR 탐사를 통해 공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선제적으로 제거한 결과로 분석했다.

시는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서울 시내 굴착공사장 289개소와 대형공사장 23개소(신안산선, 동북선, 지하철 9호선 연장, 영동대로 구간 등) 등 총 312개소를 조사해 97개의 공동을 발견하고 모두 조치 완료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지속해서 GPR 탐사를 강화해 왔으며 발견된 공동은 100% 신속 조치해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다”며 “GPR 탐사뿐만 아니라 굴착공사장의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신기술을 도입해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