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 사진 앞)와 김병기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10월 2일 서울 용산역에서 귀성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오른쪽 사진 앞줄 왼쪽 둘째)와 송언석 원내대표가 10월 10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국 시도당위원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년 6·3 지방선거를 7개월 앞두고 여야가 공천룰 경쟁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컷오프(공천 배제)를 최소화하고 당원 투표 비중을 확대하며 '당원주권형 경선' 정착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은 나경원 의원이 이끄는 총괄기획단을 조기 가동해 '열린 경선' 중심의 공천 체계 마련에 착수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1인 1표' 원칙 도입으로 당내 의사결정 구조를 대의원 중심에서 권리당원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지난 10일 "공직후보자 추천 과정에서도 권리당원이 실질적 의사결정 주체가 되도록 하겠다"며 "대의원은 권리당원과 동일한 등가로 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공천제도분과와 전략분과를 통해 부적격·감산·가산 기준을 이달 말까지 확정할 계획이다. 조 사무총장은 "부적격으로 분류된 예외 대상자에 대한 정밀 심사 기준과 경선 운영 방식도 논의 중"이라고 했다. 여기에 3번 이상 탈당한 전력이 있는 사람을 예외 없는 부적격자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민주당은 오는 12월 중순 선출직 평가위원회를 열어 국회의원·광역단체장 평가를 시작하고 내년 1월 예비후보 자격심사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2월 말에는 중앙당과 시·도당 공천관리위원회를 설치해 경선을 치른다. 후보가 3명 이상이면 지난해 바뀐 당규에 따라 선호·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반면 국민의힘은 총선과 대선 연패 이후 조직 재정비를 위한 각 지역 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핵심은 '인재 영입'이다. 당 총괄기획단은 연말까지 공천룰 윤곽을 확정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전략공천 최소화·경선을 원칙으로 하되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컨벤션효과'를 극대화하고 격전지 후보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정치 신인·청년·여성에게는 가점을, 현역 의원은 감점을 부여해 세대교체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나 의원은 지난 10일 지선총괄기획단 회의에서 "닫힌 정당이 아니라 열린 정당이 될 수 있도록 인재가 구름같이 모일 수 있는 공천 시스템을 꼭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1인 1표' 원칙 도입으로 당내 의사결정 구조를 대의원 중심에서 권리당원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지난 10일 "공직후보자 추천 과정에서도 권리당원이 실질적 의사결정 주체가 되도록 하겠다"며 "대의원은 권리당원과 동일한 등가로 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공천제도분과와 전략분과를 통해 부적격·감산·가산 기준을 이달 말까지 확정할 계획이다. 조 사무총장은 "부적격으로 분류된 예외 대상자에 대한 정밀 심사 기준과 경선 운영 방식도 논의 중"이라고 했다. 여기에 3번 이상 탈당한 전력이 있는 사람을 예외 없는 부적격자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민주당은 오는 12월 중순 선출직 평가위원회를 열어 국회의원·광역단체장 평가를 시작하고 내년 1월 예비후보 자격심사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2월 말에는 중앙당과 시·도당 공천관리위원회를 설치해 경선을 치른다. 후보가 3명 이상이면 지난해 바뀐 당규에 따라 선호·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국민의힘은 전략공천 최소화·경선을 원칙으로 하되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컨벤션효과'를 극대화하고 격전지 후보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정치 신인·청년·여성에게는 가점을, 현역 의원은 감점을 부여해 세대교체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나 의원은 지난 10일 지선총괄기획단 회의에서 "닫힌 정당이 아니라 열린 정당이 될 수 있도록 인재가 구름같이 모일 수 있는 공천 시스템을 꼭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