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피해 709개로 확정…1등급 시스템 40개 중 25개 복구

사진행정안전부
[사진=행정안전부]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멈춘 행정정보시스템이 총 709개로 확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 가운데 복구된 시스템은 193개(복구율 27.2%)이며,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1등급 시스템의 경우 40개 중 25개가 정상화됐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엔탑스(nTOPS) 시스템 복구로 전체 시스템 목록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며 “부처별 확인 과정을 거쳐 전체 피해 시스템을 709개로 정정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정부는 피해 시스템을 647개로 파악했으나, 우체국금융·공직자통합메일 등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세분화되고, 온나라문서시스템이 기관별 개별 목록에서 통합 관리체계로 묶이면서 최종 수치가 62개 늘어났다.

정부는 이번에 복구된 193개 시스템 가운데 1등급 25개, 2등급 29개, 3·4등급 139개가 포함됐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1등급 시스템은 업무 영향도와 이용자 수가 많은 만큼 신속한 복구를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다”며 “현재 복구율은 62.5%로, 남은 시스템도 단계적으로 복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연휴 기간에 예정된 장비 도입 일정을 앞당겼다. 김 차관은 “이달 말 도입 예정이던 장비를 긴급히 반입해 서버 90식, 네트워크 장비 64식 등 총 198식의 전산장비를 신규 설치했다”며 “설치가 완료되는 15일 이후부터는 복구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화재와 분진 피해가 집중된 전산실의 환경 복구도 마무리 단계다. 김 차관은 “분진 피해가 컸던 8전산실의 전산장비 512대와 항온항습기 11대의 청소 및 점검이 모두 끝났다”며 “전기 설비 복구가 완료되는 대로 시스템 재가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의 복구 방식은 일부 변경됐다. 당초 정부는 해당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기술 검토 결과 대전센터 내에서 복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김 차관은 “5층 전체를 이전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비효율적”이라며 “대전센터의 5·6 전산실에 신규 장비를 설치해 복구하고,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나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화재 원인 조사와 복구 작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대전센터 내 복구팀과 대구센터 전환팀으로 이원화해 운영 중이다. 김 차관은 “각 전산실의 물리적 피해 정도와 연계성, 복구 우선순위를 고려해 시스템별 복구 일정을 세밀하게 조정하고 있다”며 “민간 클라우드 기업과의 협의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이번 화재로 드러난 전산 자원 관리체계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분산 백업 체계와 긴급 대응 매뉴얼을 새로 정비할 방침이다. 김 차관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핵심 시스템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구조적 개선을 추진하겠다”며 “안정적 복구와 재발 방지를 위해 민·관이 함께 대응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