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현직 장관들을 연이어 불러 조사하며 수사 속도를 높이고 있다.
특검팀은 수사 기간 연장 첫날인 30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비공개 소환해 5시간가량 조사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오전 6시 30분께 특검 사무실에 도착해 취재진을 피해 입출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안 장관이 해병대 수사단이 채 상병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2023년 8월 2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과 14분간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정례 브리핑에서 “민감한 시점에 통화가 상당히 길었기 때문에 사건과 관련한 대화가 있었을 것으로 보고 확인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과 위원장을 지낸 5선 의원 출신으로, 임 전 사단장과는 고교 선후배 관계다.
앞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도 지난 27일 비공개로 참고인 조사를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원 장관은 여성가족부 장관 임명 전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특검은 인권위가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이 제기한 긴급구제 신청 및 진정을 기각하는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권위 군인권소위원회는 지난해 8월 군인권센터가 제기한 긴급구제 및 진정 사건을 모두 기각했는데, 당시 회의에는 원 장관도 참석했다.
특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 도피 의혹 수사도 확대하고 있다. 이날 심우정 전 검찰총장(현 법무부 차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데 이어, 내달 1일에는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예정이다. 이 전 비서관은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에서 인사 검증을 총괄한 인물이다.
특검은 또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소환에 불응한 김장환 극동방송 이사장과 한기붕 전 사장에 대해 오는 10월 2일 법원에 공판 전 증인신문을 청구할 계획이다. 이는 법정에서 증언을 남기는 방식으로 진술을 확보하려는 절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