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승인 30년 넘긴 노후 건축, 전국 건물의 44%

  • 수도권 노후 건물 비율 37.7%…지방은 47.1%

서울 서초구 구룡산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 서초구 구룡산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내 건물의 44.4%(동수 기준)는 사용 승인 후 30년이 지난 노후 건축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건축물 통계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노후 건물 비율이 37.7%였지만 지방은 47.1%로, 지방의 노후 건축물 비율이 더 높았다.
 
용도별 전국 기준 노후 건축물 비중은 주거용이 53.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상업용(34.4%), 교육·사회용(26.4%), 공업용(21.0%) 등의 순을 기록했다. 주거용에서 수도권 노후 건물은 45.2%, 지방은 56.9%였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0.4% 증가한 742만1603동을 기록했다. 연면적은 2.1% 증가한 43억1498만7000㎡다.
 
용도별 연면적은 주거용(19억8714만8000㎡) 비중이 46.1%로 가장 컸다. 상업용(9억5524만8000㎡) 22.1%, 공업용(4억7767만㎡) 11.1%, 교육·사회용(3억8242만4000㎡) 8.9%로 나타났다.
 
주거용 건축물 중 세부 용도별로 아파트 면적은 12억8786만㎡(64.8%)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단독주택 3억3305만7000㎡(16.8%), 다가구주택 1억7212만1000㎡(8.7%), 다세대주택 1억3380만8000㎡(6.7%), 연립주택 4548만6000㎡(2.3%) 등의 순이었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아파트 면적이 각각 68.9%(6억4255만㎡), 61.2%(6억4531만㎡)로 주택 유형 가운데 가장 비중이 컸다.
 
지난해 말소 건축물은 4만2034동으로, 전년(4만7701동) 대비 1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층별 건축물 동수 비율은 1층 60.7%(450만4000동), 2∼4층 33.3%(247만1000동), 5층 2.5%(18만6000동) 등이었다.
 
소유 주체별 건축물 동수 비율은 개인 소유 77.1%(572만동), 법인 소유 8.0%(59만1000동), 국·공유 소유 3.3%(24만5000동)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전국 건축 허가 면적은 9.0% 감소했다. 반면 착공과 준공 면적은 각각 6.7%, 10.9% 늘었다.
 
아파트의 경우 허가 면적은 6.4% 감소한 반면, 착공과 준공 면적은 각각 16.9%, 30.0%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