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EASD 2025서 '근육 증가 비만약' 연구결과 발표

한미약품 RD센터 전해민 임상이행팀장 비만 신약 HM17321 구연 발표사진한미약품
한미약품 R&D센터 전해민 임상이행팀장 비만 신약 HM17321 구연 발표[사진=한미약품]

한미약품이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제6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세계 최초 근육 증가를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 신약의 작용 기전을 규명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았다. 기존 GLP-1 기반 비만 치료제가 체중 감량 과정에서 근손실이 불가피했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성과는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한미약품은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HM15275),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HM17321), 경구용 비만치료제(HM101460) 등 비만 신약 관련한 6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HM17321'은 근손실 보완뿐 아니라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계 최초의 비만 혁신 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되고 있다.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도 체지방 선택적인 체중 감량과 지방량 보존 효과가 나왔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임상 1상 진입을 앞둔 'HM17321'의 약리적 효능이 인체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을 입증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향후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 분야에서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중작용제 'HM15275' 의 데이터도 공개됐다. 이 약물은 세마글루타이드(위고비), 터제파타이드(젭바운드, 마운자로) 대비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와 혈당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장기 투약 연구에서는 경쟁 약물 레타트루타이드보다 탁월한 체중 감소를 보였고, 근육량은 유지하며 지방을 현저히 줄이는 결과가 확인됐다.

한미약품은 경구용 저분자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에 대한 초기 연구 성과도 발표했다. 이번 학회에서 처음 공개된 'HM101460'은 지속적 약효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G-단백질 편향 활성을 나타냈으며, 초기 개발 단계에서 연구 방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다는 설명이다.

최인영 R&D센터장은 "한미의 비만 신약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통해 시판된 약물의 한계를 보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비만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