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장벽, 50~60대 여성 가장 크게 느낀다

  • 문광연 "포용적 향유 위해 UI 개선·조력 체계 필요"

그래픽문화관광연구원
[그래픽=문화관광연구원]
고령층, 특히 50~60대 여성이 디지털 기반 문화 콘텐츠를 즐기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사용자 환경(UI) 개선을 넘어, 조력 체계와 맞춤형 이용환경이 뒷받침돼야 ‘포용적 향유’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은 최근 발간한 '콘텐츠산업 동향 브리프 25-5호: 콘텐츠 향유 디지털 격차'에서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세대와 성별에 따라 디지털 및 현장 기반 콘텐츠 향유에서 격차가 나타나며, 특히 50~60대 여성이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OTT)이나 유튜브는 비교적 원활하게 이용했으나, 게임과 같은 장르는 접근성이 낮았다. 또 검색 기능은 쉽게 활용하는 반면, 글씨 크기 조절·자막 설정·알림 변경 등 ‘개인 맞춤형 환경 설정’은 가장 어려운 조작 요소로 꼽혔다.

영화·공연 티켓 구매 과정에서도 세대별 차이가 드러났다. 전 연령대에서 ‘티켓 매진’(63.2%)이 가장 큰 애로사항이었지만, 50~60대 여성은 온라인 가입·결제 절차 등 디지털 장벽으로 인한 불편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호소했다. 이들은 어려움 발생 시 가족이나 지인에게 의존하는 비율도 높았다.

디지털 콘텐츠 이용을 포기한 경험의 배경을 분석한 결과, 여성일수록·연령이 높을수록·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을수록 포기 가능성이 높아졌다. 반대로 소비 장르가 다양할수록 포기 가능성은 낮아졌다. 현장 기반 콘텐츠의 경우 성별·연령보다는 ‘조력자 유무’가 가장 중요한 변수였다.

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고령층 대상 현장 예매창구·전화상담·지원 서비스 확대 △큰 글자·명확한 버튼·절차 단순화 등 UI 개선 △실습형 교육과 체험형 튜토리얼 제공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승희 연구원은 “특히 현장 기반 콘텐츠에서는 조력자가 없으면 향유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며 “시스템적으로 ‘조력 기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세원 원장도 “디지털 환경 변화와 고령화가 맞물린 지금, 포용적 향유 환경 마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