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안정적 한일 관계 발전이 양국의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지역 전체의 이익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23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일본, 한국, 미국의 협력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적극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평화도 안정도 찾아오지 않는다. 이러한 격동의 시대에는 더욱 그렇다"고 했다.
한편 일본 언론은 23일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공동 발표문에 “한·일 정상은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60년간 쌓아온 기반을 바탕으로 두 나라 관계를 안정적이고 미래 지향적으로 발전시켜나갈 것”이라는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다수 일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정상회담 뒤 ‘공동 기자회견 발표문’이라는 제목의 합의 문서에 이런 내용을 명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이날 오후 한·일 정부가 최종 조정 중인 공동 발표문에는 과거사 문제도 담길 것으로 전망됐다.
요미우리신문은 공동 발표문에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과가 포함된 1998년 ‘한·일 공동선언’을 포함해 일본 역대 내각이 보여온 역사 인식에 변화가 없다”는 취지의 내용도 포함된다고 알렸다. 특히 신문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일본 정부가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다시 분명히 하고, 경제·안보 등 폭넓은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추구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 언론들이 21일과 23일 보도한 인터뷰에서 박근혜 정부 시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합의와 윤석열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 제3자 변제안에 대해 “국가간 신뢰와 정책 일관성은 매우 중요하다”며 “전임 대통령과 정부도 국민이 선택한 국가의 대표이며 그들이 합의하거나 시행한 정부 정책을 쉽게 뒤집을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또 이 대통령은 “김대중 대통령-오부치 게이조 총리의 한·일 공동 선언이 한·일간 경제·문화·사회·인적 교류 등 여러 분야에 협력 확대 길을 열었다”며 “당시 선언을 계승하면서, 이를 뛰어넘는 새 한·일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발표를로 진정한 새 한·일 관계, 발전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구축해보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