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의 갤럭시 워치8 시리즈가 고도화된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한다. 심박과 체온 측정에 항산화 지수 모니터링까지, 그간 병원 진료실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던 검사 결과를 손목 위에서 간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건강한 생활 습관과 예방적 관리를 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향후 이용자를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에도 나선다는 구상이다.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상무는 7일 서울 중구 태평로 빌딩에서 '갤럭시 워치8 헬스 케어' 브리핑을 통해 "고도화된 워치 센서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이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해 예방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더 나은 건강 관리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웨어러블 센서와 알고리즘 개발을 시작해 갤럭시 기어에 처음 탑재했다. 웨어러블 센서는 심박수, 수면 스트레스 등 건강 지표를 측정해 건강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갤럭시 워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건강 습관 형성을 돕는 동시에 신체의 위험 신호를 조기 발견해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회사는 갤럭시 워치의 센서를 작고 정교하게 설계하고 있다. 2021년 갤럭시 워치4 시리즈에 기존의 3가지 센서인 △광학심박센서(PPG) △전기심박센서(ECG)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센서(BIA)를 1개의 칩으로 통합한 '3-인(in)-1 바이오액티브 센서'를 탑재했다. 삼성전자는 3개의 센서를 1개의 칩으로 통합하기 위해 센서 레이아웃을 재설계했다.
2022년에는 비접촉식 적외선 기반의 피부 온도 감지 기술을 도입했고, 지난해 새로운 LED 색상(파란색·노란색·보라색·자외선)을 추가해 최종당화산물을 비롯한 건강 지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됐다.
최 상무는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워치의 디자인과 착용감을 개선했다"며 "특히 BIA 센서는 스페이스X 우주비행사들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사용하면 예방적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는 게 최 상무의 설명이다.
취침 시간 가이드 기능은 '투-프로세스(Two-Process)' 수면 모델이라는 원리를 활용했다. 사용자가 3일간 워치를 착용하고 수면을 기록하면 생체 리듬(생체 시계)과 수면 욕구(피로도) 분석을 기반으로 최적의 취침 시간을 계산해 수면 습관 형성을 돕는다. 이 기능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과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하고 삼성서울병원을 통해 임상 검증을 거쳤다.
항산화 지수 측정 기능은 세계 최초로 스마트 워치에 적용됐다. 바이오액티브 센서로 5초 만에 체내 항산화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수준을 측정해 부족 혹은 적정 수준을 표시해 준다. 피부 카로티노이드는 채소 과일 섭취 지표로, 암이나 각종 만성 질환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심혈관 건강 측정 기능도 강화했다. 혈관 스트레스는 수면 중 혈액 흐름과 관련된 광학 신호인 PPG(Photoplethysmogram) 신호를 측정해 혈관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한다. 혈액의 양과 혈관 경직도를 측정, 혈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심전도(ECG) 모니터링 기능도 향상돼 이소성 박동도 감지한다. 이소성 박동은 정기 검진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심장 박동으로, 빈도가 높을 경우 심방세동으로 이어져 뇌졸중과 심부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이소성 심장 박동을 감지해 불규칙한 심장 박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심장 건강 관리를 돕는다.
최 상무는 "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향후 헬스케어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며 "특히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문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삼성이 미국의 헬스케어 기업 '젤스(Xealth)'를 인수한 것과 연결된다. 회사는 젤스 플랫폼을 활용해 향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상무는 7일 서울 중구 태평로 빌딩에서 '갤럭시 워치8 헬스 케어' 브리핑을 통해 "고도화된 워치 센서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이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해 예방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더 나은 건강 관리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웨어러블 센서와 알고리즘 개발을 시작해 갤럭시 기어에 처음 탑재했다. 웨어러블 센서는 심박수, 수면 스트레스 등 건강 지표를 측정해 건강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갤럭시 워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건강 습관 형성을 돕는 동시에 신체의 위험 신호를 조기 발견해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회사는 갤럭시 워치의 센서를 작고 정교하게 설계하고 있다. 2021년 갤럭시 워치4 시리즈에 기존의 3가지 센서인 △광학심박센서(PPG) △전기심박센서(ECG)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센서(BIA)를 1개의 칩으로 통합한 '3-인(in)-1 바이오액티브 센서'를 탑재했다. 삼성전자는 3개의 센서를 1개의 칩으로 통합하기 위해 센서 레이아웃을 재설계했다.
최 상무는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워치의 디자인과 착용감을 개선했다"며 "특히 BIA 센서는 스페이스X 우주비행사들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사용하면 예방적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는 게 최 상무의 설명이다.
취침 시간 가이드 기능은 '투-프로세스(Two-Process)' 수면 모델이라는 원리를 활용했다. 사용자가 3일간 워치를 착용하고 수면을 기록하면 생체 리듬(생체 시계)과 수면 욕구(피로도) 분석을 기반으로 최적의 취침 시간을 계산해 수면 습관 형성을 돕는다. 이 기능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과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하고 삼성서울병원을 통해 임상 검증을 거쳤다.
항산화 지수 측정 기능은 세계 최초로 스마트 워치에 적용됐다. 바이오액티브 센서로 5초 만에 체내 항산화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수준을 측정해 부족 혹은 적정 수준을 표시해 준다. 피부 카로티노이드는 채소 과일 섭취 지표로, 암이나 각종 만성 질환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심혈관 건강 측정 기능도 강화했다. 혈관 스트레스는 수면 중 혈액 흐름과 관련된 광학 신호인 PPG(Photoplethysmogram) 신호를 측정해 혈관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한다. 혈액의 양과 혈관 경직도를 측정, 혈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심전도(ECG) 모니터링 기능도 향상돼 이소성 박동도 감지한다. 이소성 박동은 정기 검진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심장 박동으로, 빈도가 높을 경우 심방세동으로 이어져 뇌졸중과 심부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이소성 심장 박동을 감지해 불규칙한 심장 박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심장 건강 관리를 돕는다.
최 상무는 "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향후 헬스케어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며 "특히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문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삼성이 미국의 헬스케어 기업 '젤스(Xealth)'를 인수한 것과 연결된다. 회사는 젤스 플랫폼을 활용해 향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