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부 장관 "조직개편, 국정위서 긴밀하게 논의…조선·해운 통합 신중해야"

  • 2+2 협의체 질문에 "협상력 제고" 답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을 찾아 취임 소감을 밝혔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을 찾아 취임 소감을 밝혔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기후에너지부(설치)는 대통령 공약사항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해야 된다는 정책적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을 찾은 김 장관은 정부 조직개편에 대한 질문에 "에너지와 통상 등 우리 부 차원에서 산업과 어떻게 연계할지 국정기획위원회와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다"며 "조직개편 여부부터 논의하고 있으니 결과를 봐달라"고 말했다.

조선해양플랜트 부문의 해양수산부 이관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은 국정위가 내릴 것이라면서도 "신중하게 생각해야 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조선산업은 해운보다는 오히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계, 소재, 디지털 등 산업·복합적인 성격이 강하다"며 "그런 논의가 있는 건 알고 있는데 (이관은)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에서 이와 유사한 흐름이 있어서 조선업이 해운과 합쳐진 적이 있는데 결국 일본이 조선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 이유도 산업적 시너지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물과 연관이 됐다고 해서 해운하고 합친다는 것은 조금 안 맞다"고 부연했다.

김 장관은 통상 현안에 대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앞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방미가 확정되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또는 통상교섭본부장과의 '2+2 협의체'를 이뤄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협상 카드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2+2 협의체'의 방미 목적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협상 테이블 참여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 이에 김 장관은 "분산보다는 협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며 "통상교섭본부장이 할 수 있는 커버리지가 있고 저나 부총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협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최종적인 것은 부총리께서 말씀하실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