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독거 어르신을 위한 알뜰폰 요금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고령화 시대에 디지털 격차 해소와 통신기본권 보장을 위한 정책으로, 정부와 지자체, 민간 기업이 함께하는 민관 협력 모델로 설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독거 어르신의 통신비 부담을 덜고 통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독거 어르신 대상 알뜰폰 요금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이날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에 착수했으며, 오는 8월 8일까지 참여 의사를 접수받을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전체 기획과 운영을 총괄하고, 지자체가 지원 대상자 선정과 요금 부담을 맡는 구조다. 민간에서는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알뜰폰 사업자가 어르신 전용 저가 요금제를 설계하고,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우체국망을 통해 가입을 현장에서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고령층의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우체국 직원들이 어르신의 요금제 가입 절차를 현장에서 밀착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방식이 단순한 요금 지원을 넘어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지원 사업은 통신기본권 보장이라는 새 정부 통신 공약과 맞닿아 있다”며 “디지털 소외 계층인 독거 어르신이 최소한의 통신 환경을 안정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앞으로도 모든 국민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촘촘한 디지털 복지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