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장관 "H20칩, 中 희토류 재개 조건으로 풀었다"

엔비디아 로고 사진AFP·연합뉴스
엔비디아 로고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엔비디아 인공지능(AI) 반도체 H20 칩의 수출을 허가한 배경에 대해 미국 상무부가 직접 입을 열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이 희토류 자석의 미국 수출을 재개하는 조건으로, 우리는 H20 칩 수출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6월 런던에서 열린 미·중 무역협상에서 희토류·반도체 수출 제한을 맞교환하기로 한 이른바 '자석 합의'에 따른 조치라는 설명이다.

러트닉 장관은 "H20은 성능 기준으로 네 번째로 좋은 칩이며, 최신형 칩은 아니다"라며 "중국에는 최고의 제품도, 두 번째·세 번째도 팔지 않는다. 네 번째 제품까지는 괜찮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개발자들이 미국 기술에 계속 중독되도록 할 만큼만 팔고 싶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고성능 칩에 대한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 이후, 중국 시장용으로 성능을 낮춘 H20 칩을 제작해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중순부터 H20 수출도 허가제로 전환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H20 수출통제가 협상 카드였다고 밝히며 "중국이 원하는 것과 우리가 원하는 것이 서로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러트닉 장관은 같은 인터뷰에서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배경도 언급하며 "한국, 중국, 일본은 철강사에 사실상 무료로 전기를 제공해 자국 기업을 보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들 국가가 미국에 철강을 덤핑한다고 비판했지만, 한국 정부와 철강업계는 해당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