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리꾼들은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다필요없고, 그때그때 방역하고없애라" "징그러워서 못살겠다" "여름이 너무 싫다" "사람한테 피해를 주던 안주던 다 싫다" "이번에는 또 미국이냐"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10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다.
1958년 북미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연간 2~3차례 발생하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도심 가로수·조경수의 잎을 갉아 먹는 해충으로,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에 불편을 끼치고 도시 경관을 훼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2000년대 8.9%, 2010년대 6.7%보다 높아 피해가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연구사는 연합뉴스를 통해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