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샷] "러브버그 말고 또 다른 불청객이 온다"…그게 뭐길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최근 러브버그가 사라지고 미국흰불나방이 나타나자 누리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누리꾼들은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다필요없고, 그때그때 방역하고없애라" "징그러워서 못살겠다" "여름이 너무 싫다" "사람한테 피해를 주던 안주던 다 싫다" "이번에는 또 미국이냐"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10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다.

1958년 북미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연간 2~3차례 발생하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도심 가로수·조경수의 잎을 갉아 먹는 해충으로,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에 불편을 끼치고 도시 경관을 훼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 32개 고정 조사구의 활엽수 1천600그루에서 수집한 미국흰불나방 1세대(알에서 태어나 유충,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다시 알을 낳기까지의 한 생애 주기 전체) 유충 피해율을 모니터링한 결과, 15.8%로 나타났다.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6.9%로 예측됐다.

이는 2000년대 8.9%, 2010년대 6.7%보다 높아 피해가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연구사는 연합뉴스를 통해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