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조만간 세법개정안에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포함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발의된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법안을 보면 배당성향이 35% 이상인 상장사가 지급하는 배당은 종합소득에서 분리해 별도 세율을 적용한다. 배당소득세는 최대 49.5%에서 27.5% 수준으로 깎이며 개인투자자들의 과세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기업들의 배당액 확대를 유도하면서 투자자들의 세 부담을 낮추면 저평가된 금융지주사들의 기업가치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 1분기 금융지주사별 배당성향은 우리금융 23.91%, 하나금융 22.10%, KB금융 19.73%, 신한금융 18.70% 순이다. 세법개정 시기에 따라 금융지주사들은 배당성향을 35%로 높이는 것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업은행은 35%, 카카오뱅크는 39%로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준을 충족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배당액은 매년 초 주주총회에서 결정되는 만큼 주주환원 비중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은 지난달 약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하반기에는 추가 자사주를 4000억원 이상 매입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또 신한금융은 임원 등의 장기 성과급 80% 비중을 기업가치 제고와 연관된 항목들로 채웠다. 그룹 KPI(성과보상지표) 차원에서도 50%를 밸류업 지표들로 구성했다. 지난해 일본에서 개최한 해외 애널리스트 데이를 올해도 이어가며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하나금융도 하반기 3000억~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앞두고 있다. 우리금융은 4분기 감액배당을 도입하기로 해 개인투자자의 체감 배당수익률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3분기부터 보험사 등 비은행 부문과 시너지를 본격화해 CET1 비율 12.5%를 달성하고 주주환원율을 4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하반기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규모는 1500억원이다.
오문성 한양여대 세무학과 교수는 "고령화 시대에 진입하며 해외처럼 배당금을 꼬박꼬박 받는 배당주 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배당 적립금을 쌓아가기 위해 리스크가 작고 수익성이 높은 사업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