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신년사 점검] 증권사 CEO, 이행점수 '76.6점'… 하반기 '신사업 추진·리스크 관리' 과제로

  • 11개 증권사 5대 신년키워드 분석

  • 디지털 체질 개선 기대 이상 성과 보여

  • 대형사 고득점… KB증권 82.8점 1위 차지

 

주요 기업은 새해 초 최고경영자(CEO) 명의의 신년사를 낸다. 한 해 중점 추진할 경영전략이 여기에 담긴다. 신년사 내용은 내부 임직원과 외부 투자자를 향한 CEO의 약속이다. 주요 증권사 CEO들도 올 초 신년사를 통해 중점 경영전략을 제시했다.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신년사의 경영전략을 가장 잘 이행한 곳은 어디일까. 각 증권사의 평균 이행점수가 80점에 육박한 가운데 KB증권의 이행실적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됐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11개 주요 증권사(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KB증권·삼성증권·신한투자증권·하나증권·키움증권·대신증권·IBK증권·LS증권)는 신년사에서 공통적으로 5대 키워드(고객 중심, 리스크 관리, 글로벌 확장, 디지털·AI, 신사업)를 제시했다. 이를 기준으로 올 상반기 동안 실적과 제도 구축 성과 등을 판단한 키워드 이행지수(KPI Index) 분석 결과 평균 76.6점으로 나타났다. 각 키워드는 동일 가중(6.67점씩)에 100점 만점으로 평가했다.
 
우선 디지털·AI 부문은 가장 높은 88점을 받았다. KB증권의 ‘스톡AI’, NH투자증권의 ‘차분이’, 신한투자증권의 ‘AI PB’ 등 7건의 생성형 AI 서비스가 상용화된 덕분이다. 금융당국이 상반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한 19건이 증권사 몫이었다. 전산·IT 투자 규모도 전년 대비 12% 증가한 3340억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고객과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체질 개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은 AI 기반 리테일 서비스의 대중화를 시도 중이며, 플랫폼 중심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고객 중심 경영은 83점으로 나타났다. 자산관리(WM) 부문 순자산액(AUM)은 상반기 동안 10조8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특히 KB증권의 WM 자산은 70조원을 돌파했으며, 미래에셋증권은 연금자산 잔고가 1분기 44조4000억원까지 증가했다. 더불어 소수점 투자, AI 기반 상품 추천 등 맞춤형 서비스도 13건 출시됐다. 

글로벌 사업 확장 항목은 78점을 기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인도 현지 10위권 증권사 쉐어칸(Sharekhan) 인수를 통해 현지 고객 수 310만명, 지점 수 142곳으로 외형을 키웠다. 1분기 해외 세전이익은 1196억원으로 신기록을 세웠고, 전체 이익 중 해외 비중도 34.6%에 달했다. 한국투자증권은 뉴욕·런던 등 선진국 기업금융(IB)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반면, 신사업(STO) 항목은 64점에 머물렀다. KB증권·신한투자증권·키움증권 등은 플랫폼 핵심 기능 개발을 완료했으며 NH투자증권, SK증권, 카카오페이증권 등도 STO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단, 법제화 지연으로 상용화는 하반기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리스크 관리 항목도 70점에 그쳤다. 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KB증권·IBK증권 등 4개사는 내부통제 시스템 고도화를 마쳤고, 운영 리스크 개선도 일부 이뤄졌지만, 시스템 실효성 확보는 아직이다. 다만 상반기 중 증권사 대상의 금융당국 제재나 대형 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은 주목할 대목이다.

핵심 키워드 이행 점수와 별개로 증권사별 종합이행 점수는 KB증권이 82.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한국투자증권(82.3점), 미래에셋증권(81.1점), 신한투자증권(79.2점), NH투자증권(77.8점), 삼성증권(76.4점), 키움증권(74.1점), 하나증권(70.3점), 대신증권(64.4점), IBK투자증권(62점), LS증권(56점) 순이다.

하반기에는 미국 대선과 금리 방향성, 환율 변동성 등 외부 리스크가 경영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제적 리스크 탐지체계 고도화'가 공통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올해 증권가에서는 빠른 변화에 대한 적응력은 입증했다”면서도 “제도적 구축이 필요한 신사업, 리스크 대응능력 확보 등은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