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자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어떻게든 '만날 수 있을 때 단 1초라도 만나면 좋겠다'는 선의에 기초한 일리 있는 문제 제기일 수는 있지만 크게 보면 꼭 맞지는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나토 회원국들이 메인 세션을 2시간 반으로 줄일 정도로 위상이 줄어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급거 귀국이 다시 G7(주요 7개국) 때처럼 반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이 대통령의 불참 결정 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않기로 한 점을 거론하면서 "일본이 한국의 결정까지 감안해 불참을 결정한 것"이라며 "이번 (이 대통령의) 불참 결정에 대해 반미·친중 관련 프레임을 갖고 공격할 소지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