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러시아 해킹에 강력 대응 모색 중...초당적 지지 얻을 듯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아라 기자
입력 2020-12-21 08: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러시아 위협 경시하는 트럼프, 안보에 위협"

미국 정부에 대한 대규모 해킹과 관련해 바이든 차기 행정부가 제재를 뛰어넘는 대응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사진=AFP·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론 클레인 차기 백악관 비서실장 지명자는 이날 CBS방송에 출연해 "조 바이든 당선인은 미국 정부와 기업을 뚫은 전산망에 침투한 것으로 의심되는 러시아 해커들에 대해 반격할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클레인 지명자는 "단순한 제재가 아니다. 이런 공격에 가담하는 외국 행위자들의 능력을 약화할 수 있는 조치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검토 중인 제재 수단으로는 러시아 인프라에 대한 재정적 불이익과 보복 해킹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당선인의 강력한 대응은 초당적 지지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의 밋 롬니 상원의원은 "사이버 공간에 관해서는 우리의 군사 및 국가안보 준비태세를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대한 빨리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상원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마크 워너 의원도 ABC방송에 출연해 "이런 행동(해킹)을 한다면 반격할 것이라는 점을 적들에게 반드시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소속인 애덤 시프 하원 정보위원장도 "해킹의 배후에 러시아가 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시프 위원장은 "해킹은 파괴적이고 기만적이며 국가 안보에 해를 끼친다"며 "러시아의 위협을 경시하고 중국을 지목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시도는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꼬집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 정부 기관 해킹 사태의 주범이 러시아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는 사실이 아니고 미국 주류 언론에 의해 과장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해킹의 배후일 수 있는데 중국 자본에 좌우되는 미국 주류 언론이 이를 거론하기 꺼린다는 음모론까지 내세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