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고양시에 따르면 산하기관인 고양문화재단이 ‘2025년 경기문화재단 상주단체 지원사업’으로 1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하고 세계적 연주자 60여명이 참여하는 악단 ‘고잉홈프로젝트’를 고양아람누리 상주단체로 선정해 지원 중이다.
공연장과 예술단체가 협력해 지역 중심 예술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며 창작·공연·교육이 한 공간에서 순환하는 예술 플랫폼의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달 초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에서는 색다른 형식의 클래식 공연이 열렸다. 새라새극장의 블랙박스 공간 특성을 살린 ‘고잉홈프로젝트×새라새 클래식’는 원하는 좌석에 자유롭게 착석하고 음료를 마시며 클래식을 감상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 관객들의 호평을 얻었다.
지난 7월 라벨 탄생 150주년과 쇼스타코비치 서거 50주년을 기념하며 ‘볼레로’와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를 한 무대에서 선보인 ‘라벨&쇼스타코비치’를 시작으로, 8월에는 올해가 탄생·서거 기념 해인 작곡가들의 대표작을 한 무대에 모은 ‘2025 고잉홈 더 갈라’가 열렸다.
다음 달 9일에는 지난해 예술의전당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한 베토벤 교향곡 ‘합창’이 무대에 올라 상주 첫해의 마무리를 장식할 예정이다. 올해는 피아니스트 손열음 협연 곡이 추가돼 또 다른 즐거움을 더한다.
2007년 개관한 고양아람누리는 오페라극장인 아람극장(1887석), 손꼽히는 음향 시설을 자랑하는 콘서트홀 아람음악당(1449석), 가변형 소극장인 새라새극장(304석)으로 구성된 복합 공연장이다.
고양문화재단은 공연장 가동률을 높이고, 인프라를 활용한 안정적 창작 환경 조성과 지역 예술단체 역량 강화를 위해 상주단체 사업을 추진해 왔다.
올해는 고잉홈프로젝트를 상주단체로 선정하고, 경기문화재단 지원금 1억원과 자체 예산으로 공연장과 예술단체의 동반성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
고양문화재단은 상주 예술단체의 활동을 교육 프로그램까지 확장하며 지역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공연장-학교-예술단체’를 잇는 구조를 통해 단순히 공연을 소비하는 도시가 아닌 예술을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도시로 변모시키는 것이다.
지난달 고양아람누리에서 열린 ‘고잉홈 아카데미 인텐시브 클래스’에는 바이올리니스트 스베틀린 루세브와 플루티스트 조성현이 참여해 전공별로 3명씩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1:1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했다.
고양문화재단 이사장인 이동환 시장은 “공연장 중심의 창작 생태계를 갖춘 도시는 문화적 자산을 스스로 키운다”며 “수준 높은 상주 예술단체와의 협력으로 고양아람누리를 세계적 예술가들이 오가는 문화 플랫폼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