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풍선효과'에 부산 해수부 이전…'힐스테이트 가야' 주목

  • 부산 아파트 매매가 4주 연속 상승

  • 해수부 임시청사 예정지 인근 입지

힐스테이트 가야 투시도 사진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가야 투시도. [사진=현대건설]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이 10·15 대책 후 3중 규제로 묶인 가운데 부산이 해양수산부(해수부)의 이전까지 맞물리면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관련 산하기관과 협력업체의 연쇄 이동으로 인구 유입 기대감이 집값에 반영되고 있다.

2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부산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보다 0.05% 오르며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부산 부동산 가격은 오름세를 보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가야 롯데캐슬 골드아너’ 전용 84㎡는 지난 8일 8억9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같은 평형대가 지난 4월 7억7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단 7개월 만에 1억원 이상 상승한 것이다.

해수부 이전 예정 지역 인근 단지들은 풍부한 배후 수요를 확보한다는 기대다. 주택 수요 증가와 교통·상권·학군 등 생활 편의시설 개선 등이 뒤따른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해수부 이전이 이뤄지고 비규제지역 풍선효과가 이어질 경우 충분히 10억클럽에 가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근 단지 ‘힐스테이트 가야’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힐스테이트 가야’는 부산진구 가야동 197, 197-3번지 일원에 들어서며, 1·2단지 총 48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 세대가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 84㎡이하로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뛰어난 교통 편의성을 갖췄다. 부산지하철 2호선 동의대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한 역세권 아파트다. 부산지하철 1·2호선 환승역인 서면역과 부산김해선·2호선 환승역인 사상역을 각각 5분, 10분에 이동 가능하다.

자차로 이동 시 가야대로, 수정터널, 백양터널의 진입이 용이해 부산 전역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수정터널을 통해서는 북항 일대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가야대로 일대는 브랜드 건설사들의 신흥주거타운이 형성되고 있다. 가야 1·4구역, 가야홈플러스 주상복합개발 등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 사업이 모두 완료되면 일대는 1만여 가구가 거주하는 신흥주거지로 거듭날 예정이다.

부산진역~부산역간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에는 1조 8184억원이 투입된다. 철도로 인해 발생했던 소음·분진 문제 등을 해결해 도심 환경을 개선될 예정이다.

가야초, 개성중, 가야고 등 학세권과 인근 개금역 주변에 신생 학원가가 형성돼 있다. 부산 핵심 상권인 서면과도 인접하다. 또 인제대백병원, 미래여성병원과 대규모 의료기관이 밀집된 ‘서면 메디컬 스트리트’가 가깝다.

전 가구에는 현대건설의 특허 층간소음 저감기술 ‘H 사일런트 홈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는 고성능 복합 완충재 적용으로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소음 저감과 충격 흡수를 극대화한 바닥구조다.

입주민 전용 스마트 플랫폼인 ‘마이 힐스(My HLLS)’도 도입된다. 마이 힐스는 입주 전 사전예약부터 입주 후 A/S 신청, IoT 가전 제어, 관리비 조회, 공지 확인 등 주거 전 과정을 앱 하나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이다. 전자투표, 단지 내 중고거래, 커뮤니티 모임 등 입주민 간 소통 기능도 갖췄다.

‘힐스테이트 가야’의 견본주택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185 일원에서 운영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