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총재 "금리 인하·동결 모두 열려있다"…장기 휴지기 돌입 시사

  • 한은 금통위 올해 마지막도 금리 동결

  • 통방문 인하 '기조→가능성' 매파적 변화

  • 금통위원 동결 3명·인하 3명 의견 갈려

  • 李 "아웃풋갭 닫히는 시점은 내년 말"

  • 시장 "동결 장기화…인하 종료는 아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한국은행이 불안한 물가 흐름, 높은 환율과 집값을 우려해 기준금리 동결 장기화를 시사했다. 우리 경제성장률이 회복세라 금리 인하에 대한 명분이 부족한 만큼 당분간 물가와 금융 안정 리스크에 집중하는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과 동결을 이어갈 가능성을 모두 열어 놓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기준금리는 금융 안정을 고려할 때 중립 금리 수준에 와 있다"며 "현시점은 기준금리 인상을 논의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동안 '잠재성장률에 한참 못 미치는 경제성장률 등을 고려할 때 여전히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다'고 했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된다. 지난 5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후 4회 연속 동결한 한은은 현 금리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조짐을 보였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문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되 대내외 정책 여건 변화와 이에 따른 성장·물가 흐름, 금융 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와 시기를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명시했다. 처음으로 금리를 낮춘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줄곧 통방문에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 나가되'라는 문구를 썼는데 이날 의결문에서는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되'라는 매파적 표현으로 대체했다.

금통위원의 3개월 내 금리 전망 역시 절반으로 팽팽하게 갈렸다. 금융통화위원 6명 중 3명은 3개월 후 금리를 연 2.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지만 나머지 3명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인하 의견이 4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이 총재는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한 3명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고 물가 우려도 증대된 만큼 당분간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3명은 성장 경로의 상하방 위험이 있고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덧붙였다.

동결 장기화를 시사한 배경에는 고환율, 잡히지 않는 수도권 집값, 들썩이는 물가, 내수 회복세가 꼽힌다. 이 총재는 1470원대까지 치솟은 원·달러 환율에 대해 "환율 변동성보다 너무 한 방향으로 쏠리는 점이 우려된다"며 상승 원인으로는 '서학개미'의 해외 투자를 정조준했다. 그는 "젊은 분들이 '쿨하다'면서 해외 투자를 많이 하는데 환율이 변동될 때 위험 관리가 될지 모르겠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 총재는 "고환율로 물가가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이날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를 각각 2.1%로 상향 조정했다. 반면 경제성장률은 내수 회복세를 반영해 올해 1.0%, 내년 1.8%로 상향 조정했다. 잠재성장률 추정치 1.8~1.9%에 근접한 것으로 더 빨리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할 명분이 사라진 셈이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으며 내년에 한 차례 추가로 금리를 인하할 여지가 있다고 봤다. 이 총재가 "어느 모델을 보더라도 현재 아웃풋 갭(실질GDP-잠재GDP)은 유의미하게 음수"라면서 "마이너스 상태가 닫히는 시점은 아무리 일러도 2026년 말"이라고 밝히면서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보다 한국이 먼저 인하 사이클 종료를 선언할 수 없다"면서 "당분간 한은은 환율, 서울과 강남 부동산 가격을 점검하며 인하 사이클 종료가 아닌 통화정책 휴지기를 가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도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에 대한 우려가 재차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