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총재 "금리 인상 논의 전혀 없다"…금통위원 3개월 내 인하 3명· 동결 3명

  •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공동취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공동취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기준금리 인하와 동결을 이어갈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을 필요가 있다"며 "금리 인상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경제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됐지만 상하방 요인이 잠재한 상황이고 부동산의 높은 상승, 환율 변동성 확대 등 금융 안정 리스크 여전한 데다 물가 상승률이 다소 높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현 시점은 기준금리 인상을 논의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현 시점과 3개월 뒤 전망 얘기할 때 금통위원 중 금리 인상 가능성 논의하자고 한 분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추가 인하 여부와 시기는 앞으로 입수되는 데이터와 성장, 물가 흐름, 금융안정을 점검해가며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실제 금통위원의 3개월 내 금리 전망은 절반으로 팽팽하게 갈렸다. 금융통화위원 6명 중 3명은 3개월 후 금리를 연 2.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지만, 나머지 3명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인하 의견이 4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이 총재는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한 3명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고 물가 우려도 증대된 만큼 당분간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3명은 성장 경로의 상하방 위험이 있고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덧붙였다.

신성환 금통위원은 지난 8월과 10월에이어 세 번째 금리 인하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이 총재는 "신 금통위원은 성장 및 물가가 다소 오르긴 했지만 기저효과를 제외하고 보면 민간 실질부문 회복속도 더딘 만큼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하하고 추후 금융안정 상황 등을 고려해 나가는게 바람직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