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사업체 종사자수, 두달 연속 증가...보건·복지 인력이 견인

  • 노동부,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사진고용노동부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사진=고용노동부]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1년 새 2만3000명 늘어나면서 두달 연속 플러스 흐름을 보이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10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35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2033만3000명) 대비 2만3000명(0.1%) 증가한 것이다.

사업체 종사자 수는 올해 1월 46개월 만에 감소 전환한 이후 8월까지 반등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지난 9월부터 증가세로 전환, 두달 연속 플러스 흐름을 보이고 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 증가가 두드러졌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선 9만9000명(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 등으로 관련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어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2만9000명, 3.1%),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만9000명, 1.4%)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의 경우 지난달에도 8만1000명(-5.6%) 감소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도 1만7000명 줄었다.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2만5000명(0.1%)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만8000명(0.9%) 늘었다. 반면 기타종사자는 2만명(-1.5%) 줄어들었다. 

규모별로는 상용 300인 미만은 1682만2000명으로 2만7000명(-0.2%) 감소한 반면 300인 이상은 353만4000명으로 5만명(1.4%) 증가햇다. 

올해 10월 중 입직자는 82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7만9000명(-8.7%) 줄었고 이직자는 82만5000명으로 4만5000명(-5.1%) 감소했다.

채용의 경우 상용직은 26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4만9000명(-15.5%) 감소한 것이다. 임시일용직 역시 3만2000명(-5.7%) 감소한 52만명을 기록했다. 

9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33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만1000원(0.7%) 증가했다.

물가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370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375만1000원) 대비 1.4% 감소했다. 추석이 10월로 이동한 데 따른 명절상여금 미지급 등으로 특별 급여가 감소한 영향이라고 노동부가 설명했다.

근로시간은 9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년 전보다 25.4시간(18.2%) 증가한 164.9시간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