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교부, 日 총리 '대만 개입' 발언에 강경 대응..."수산물 수출돼도 시장 없다"

  • 수산물 보복하며 다카이치 '대만 개입' 발언 지목..."철회 안 하면 추가 조치"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사진EPA·연합뉴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사진=EPA·연합뉴스]

중국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개입' 시사 발언을 정면 비판하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다시 중단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 민중의 강렬한 공분을 야기했다"며 경고 수위를 끌어올렸다.

19일(현지시간)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내가 알기로 일본은 앞서 중국 수출 수산물의 모니터링 책임을 이행해 품질 안전을 보장한다는 약속을 했다"며 "이는 일본 수산물 중국 수출의 선결 조건인데, 일본은 현재 약속한 기술 자료를 제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마오 대변인은 이어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수상이 흐름에 역행해 대만 등 중대 문제에서 잘못된 발언을 했고, 이것이 중국 민중의 강렬한 공분을 야기했다는 점"이라며 "현재 형세에서 설령 일본 수산물이 중국에 수출된다고 해도 시장이 있을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2023년 8월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직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가 일본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이달 5일부터 일부 수산물 수입을 재개했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는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즉시 법에 따라 수입 제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약 보름 만에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개입' 발언을 이유로 다시 수입을 중단한 것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7일 중의원(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한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이에 중국은 외교부·국방부는 물론 관영매체까지 총동원해 비판에 나섰고 자국민에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을 내리는 등 '실력 행사'도 이어가고 있다.

마오 대변인은 이날도 '다카이치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유엔 헌장이 규정한 집단적 자위권은 국제 사회의 집단적 안보를 수호하고 파시스트 세력의 부활을 방지하기 위해 창설된 권리로,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 권리 행사를 제한당했다"며 "역사를 돌아보면 이른바 '존망의 위기'와 '자위'의 이름으로 대외 침략을 하는 것이 일본 군국주의의 상투적 수법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고 했다.

마오 대변인은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관련 잘못된 발언은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훼손했고, 나는 중국이 대응할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일본은 우선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고, 실제 행동으로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지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국은 어쩔 수 없이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