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가결하며 과도 통치기구와 국제안정화군(ISF) 배치를 승인했으며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 가능성도 조건부로 열어뒀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안보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월 말 제시한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을 지지하고 분쟁 당사자들에게 휴전 유지와 평화구상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ISF는 2027년 말까지 이스라엘·이집트와 맞닿은 가자지구 접경 지역을 관리하고 민간인과 구호물자 반입 통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하마스를 포함한 비국가 무장단체의 '영구적 무장해제'도 목표로 한다.
가자지구 임시 통치기구 역할을 맡게 된 평화위원회는 트럼프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아 향후 2년간 재건 계획을 주도한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가자지구를 통치할 준비가 될 때까지 일종의 과도기 정부 역할을 맡는 것이다. 결의안에는 팔레스타인의 독립국가 건설 가능성도 언급됐다. PA의 개혁, 가자지구 재건을 조건으로 "팔레스타인의 자결권과 국가 지위로 나아갈 수 있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라고 명시한 것이다.
아랍권 국가들의 압력으로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 가능성'이라는 문구가 막판에 추가됐다. 다만 이번 결의안이 팔레스타인의 독립 국가를 확실히 보장하지 못하고 구체적인 계획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은 가자지구 재건을 당장 사업 착수가 가능한 '녹색 구역'과 그렇지 않은 '적색 구역'으로 나눠 추진한다. 동부 지역은 녹색 구역으로 분류돼 다국적군과 이스라엘군이 배치된 상태에서 즉각적인 재건이 시작된다. 반면 피란민이 밀집한 서부는 적색 구역으로 묶여 폐허 지역을 당분간 그대로 두고 단계적 재건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는 전면 재건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현실적 한계를 고려한 조치라는 평가다.
PA는 결의 직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2개의 독립국가 체제로 나아가야 한다며 조속한 시행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구상에 반대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협상 과정에서 상당한 마찰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