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가결하며 과도 통치기구와 국제안정화군(ISF) 배치를 승인했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회의에서 15개 이사국 중 13개국이 찬성한 가운데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은 거부권 대신 기권했다.
안보리 결의안은 15개 이사국 중 9개 이상 찬성하고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쓰지 않아야 통과된다. 러시아는 별도 결의안을 추진했지만 아랍·무슬림 국가들의 입장을 고려해 거부권 대신 기권했다.
안보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월 말 제시한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을 지지하고 분쟁 당사자들에게 휴전 유지와 평화구상 이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 결의는 가자지구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BoP) 설립을 승인하고 최소 2년간 가자지구에 '임시 국제안정화군'(ISF)을 배치할 수 있도록 했다.
평화위원회는 행정 관리권을 부여받아 가자지구 재건 및 경제 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공공 서비스·인도적 지원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미국은 앞서 평화위원회 의장을 트럼프 대통령이 맡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ISF는 다수의 아랍·이슬람 국가가 참여하는 다국적군으로 구성되며 '비국가 무장그룹의 영구적 무장 해제'를 임무로 명시해 하마스의 무기 해제 관여가 포함됐다. 마이크 왈츠 주유엔 미국 대사는 "다국적 평화유지군이 통합 지휘 아래 배치돼 거리 치안을 지키고, 비무장화를 감독하며, 민간인을 보호하고, 안전한 통로를 통해 구호물자 호송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의는 향후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인정 문제도 언급했다. 결의안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개혁 프로그램이 충실히 시행되고 가자지구 재건이 진전된 후, 팔레스타인의 자결권과 국가 지위에 도달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경로를 위한 조건이 마침내 갖춰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평화롭고 번영하는 공존을 위한 정치적 전망에 합의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대화를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내용은 표결 전부터 이스라엘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온 대목이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시도에 반대한다"며 강한 반대 입장을 표한 바 있다.
이날 기권한 러시아의 바실리 네벤자 유엔대사는 "미국 및 다른 중재자들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불행히도 '두 국가 해법'과 같은 핵심 요소가 미국안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하마스는 결의안 통과 후 성명에서 "이번 결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정치 및 인도주의적 수요와 권리 수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어 "평화위원회와 ISF를 둘러싼 확실성도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휴전 이후 가자지구 내부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지지도가 상승하고 있어 트럼프 정부의 평화 구상 이행의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