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유전, 세계 최초 '비연소 저온방식 플라스틱 촉매분해 기술' 상용화 성공

웨이브 정읍공장 전경 사진도시유전
웨이브 정읍공장 전경. [사진=도시유전]

도시유전이 세계 최초로 폐플라스틱을 연소시키지 않고, 저온 상태에서 촉매 분해해 플라스틱의 원료로 쓰이는 나프타 수준의 고품질 재생원료를 생산하는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했다.

도시유전은 18일 전북 정읍시에 우리기술과 합자해 만든 '웨이브 정읍(WAVE Jeongeup)' 플랜트의 준공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가동과 재생 원료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에 준공된 공장설비는 농가에서 발생하는 영농폐비닐을 비롯한 연간 6500톤의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을 처리하여 최대 4550톤(약 540만리터)의 플라스틱 재생원료유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춘 국내 최대 규모이다. 

도시유전이 독자 개발에 성공해 가동하는 설비의 공정은 세라믹 촉매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300℃ 미만의 온도에서 폐기물을 태우지 않고 분해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300℃ 미만 온도의 열분해 과정에서는 다이옥신·퓨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선별되지 않은 혼합폐기물(예: 종량제 봉투)에서도 비닐·플라스틱만을 분리해 고품질 재생유를 생산할 수는 세계최초 기술이기도 하다.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저온열분해 처리기술은 △국제적 지속가능성을 인증하는  ISCC PLUS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PSM(공정안전관리제도)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KTL 품질검증 등 3대 국내·국제 검·인증을 모두 획득함으로써, 국제적으로 탄소배출권을 인정받고 생산된 재생원료는  국내는 물론 해외수출도 가능하다. 

특히 ISCC PLUS인증은 플라스틱을 만드는 나프타 크래킹 공정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재생 원료유를 한국의 단일공장에서 자체 기술로 생산함으로써,  EU의 까다로운 환경규제를 통과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그동안 선진국 기술에 의존하던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 분야에서 대한민국이 기술 독립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로써 한국은 유럽연합(EU), 미국, 베트남, 중동 등 전세계의 글로벌 재생원료 순환경제 시장에 직접 설비나 재생원료를 수출할 수 있는 글로벌 자격과 시설을 확보하게 됐다. 생산되는 재생원료유는 이미 2024년 베트남 남안그룹과 연간 최대 150억원 규모로 수출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한국형 친환경 저온열분해 기술개발과 상용화 공장 탄생은 단순한 기업의 성과를 넘어, 국가 기술력으로 창출한 새로운 수출 산업의 탄생이자 한국형 녹색기술 수출 시대의 개막으로 평가된다.

폐플라스틱 친환경 저온열분해 시설은 연간 6500톤의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시 플라스틱을 만드는 재생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약 1만7550톤의 규모의 탄소배출권 확보 효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정영훈 도시유전 대표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비연소 저온분해 기술을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웨이브 정읍 플랜트'는 국가적 성취"라며 "대한민국이 이제는 ‘탄소중립 기술 수입국’이 아니라 ‘기술 수출국’으로 전환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