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로 향하는 K방산④]누리호 숨은 주역…300개 강소기업이 키운 '민간 생태계'

  • 단암시스템즈·두원중공업 등 300개 우주 항공 기업 누리호 제작 '동참'

Nuri rocket segments in assembly the rocket dated to launch in November Courtesy of the 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
조립 중인 누리호 발사체.[사진=아주경제DB]
누리호 4차 발사 뒤에는 강소기업의 기술 축적과 반복 제작 경험이 자리하고 있다. 1.5t급 실용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누리호 제작에는 약 300개 우주항공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며 국산화 기반을 마련했다.

누리호의 핵심 중 하나는 75t급 액체 엔진과 전체 부피의 70~80%를 차지하는 추진제 기술이다. 두원중공업은 발사체 추진계의 핵심인 연료탱크 제작을 맡았다. 총 3단으로 구성되는 누리호의 2·3단 추진제 탱크 제작을 주도했다.

누리호 연료 탱크는 저온·고압을 견디는 정밀 금속 가공 기술을 요구한다.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비행 전체가 실패하는 만큼 고난도 역량이 필수다. 누리호 엔진 공급과 연소계 개발은 비츠로넥스텍이, 동체는 한국화이바와 에스앤케이항공이, 발사대 추진제 공급 설비는 한양이엔지 등 우주 항공 기업이 참여했다.

기체 못지않게 중요한 장비가 전자·통신시스템이다. 단암시스템즈는 누리호 발사체의 전자탑재 시스템을 제작하는 국방·우주전자 전문 기업이다. 이 시스템은 발사체 상태 정보와 궤적 추적, 비행 종단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지상에 전달한다. 누리호의 '눈과 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단암시스템즈 관계자는 "나로호 시절부터 축적한 기술을 누리호 제작에 활용하고 있다"며 "이번 4~6차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협력해 전자 탑재 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4차 누리호는 제작 주체가 관에서 민간으로 넘어오면서 강소기업의 역할이 더 커졌다. 앞서 누리호 1~3차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발주·제작·총조립을 총괄했지만, 4차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도권을 쥔다. 오는 2027년까지 6차 발사가 예정된 만큼 민간 기업의 경쟁력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한국의 우주 산업 주권 확보를 위해선 연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김영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사무국장은 "발사체 기술은 반복 발사로 정교해진다. 중단되면 기술도 인력 유지도 어려워진다"며 "국산 발사체 생태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돕는 체계적인 환경 구축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8년 누리호 7차 발사를 검토하고 있다. 늘어나는 위성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 중심 생태계 구축도 단계적으로 준비한다. 임성균 우주항공청 우주수송부문 사무관은 "미국 스페이스X처럼 민간이 자체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우리 발사체의 신뢰도를 90% 이상으로 끌어올려 국내외 위성 발사 수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